최근 들어 아름다운 삶을 살던 분들이 여럿 세상을 떠나셨다.
연세가 많은 황명걸 시인이나 박기정 화백은 병으로 돌아가셨지만,
안애경 감독은 마음 정리할 틈도 없이 갑작스럽게 떠나 더 안타깝다.
떠난 분은 말이 없으나, 살아남은 자의 슬픔일 뿐이다.
난, 신이 좋아하는 사람을 더 빨리 데려간다고 믿으니,
고난의 삶을 끝내고 새로운 길을 떠나는 죽음을 두려워 할 필요가 있겠는가?
사는 동안 나쁜 일만 아니라면 꼴리는 대로 즐겁게 사는 것을 최고로 친다.
가끔 정동지가 언제 무슨 일이 있다고 약속을 해오면 하는 답은 똑 같다.
“그 때가지 내가 살지 모르겠다.”
.오늘 죽을 것처럼 사니, 두려울 것도 꿀릴 것도 없는 것이다.
지난 19일 박기정화백의 부음을 받았다.
정영신, 김명성, 조해인씨를 녹번역에서 만나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을 찾아갔다.
장레식장 입구에는 조화가 줄을 이었고, 많은 조문객이 모여 들었다.
좀 있으니 박인식 시인에 이어 박재동 화백도 나타났다.
그리고 '삼총사’, ‘가정교사’ 등을 펴낸 박기정화백의 친동생 박기준화백도 만났다.
박기준화백은 평소 형님께서 영화를 만들고 싶어 하셨는데,
결국 꿈을 이루지 못하고 돌아가셨다며 지난 일을 회고했다.
박기정화백은 최근 폐암진단을 받아 투병하시다 고통스럽게 돌아가셔서 더 안 서럽다.
평생 소신이 '백절불굴(百折不屈, 백 번 꺾이더라도 휘어지지 않는다)'이던
선생께서는 시대를 보는 눈도 매섭지만, 재치 있게 이야기를 풀어내는 솜씨가 남달랐다.
1956년 ‘별의 노래’로 데뷔하여 ‘은하수’ ‘들장미’ ‘도전자’ ‘황금의 팔’
‘레슬러’ ‘폭탄아’ ‘치마부대’ 등 다양한 극화 만화를 남겼다.
특히 ‘도전자’의 ‘훈이’와 ‘폭탄아’의 ‘탄이’는 선생의 대표적 캐릭터였다.
내가 고인의 작품을 처음 접한 것은 60년대 발표한 ‘가고파’다
주인공 훈이가 엄마를 찾아 헤매는 순정만화였다.
탄탄한 스토리와 사실적인 캐릭터가 돋보였는데, 지금도 보고 싶다
비슷한 시기에 나온 ‘흰 구름 검은 구름’에서는 오동추의 캐릭터가 인상적이었다.
친구들 보는데, 교실창문으로 도시락을 넣어주는 할머니에게 난색을 표하는 장면은
어린 시절 내가 겪은 일이라 더욱 잊혀 지지 않았다.
박기정화백을 실제 뵙게 된 것은 ‘창예헌’ 고문으로 모신 10여 년 전이었다.
가끔 박인식씨가 운영하는 ‘로마네꽁티’에서 뵙기도 했는데,
가수 최백호와 박인식, 김명성씨 등 몇몇이
‘오동추’란 박기정 펜클럽을 만들 정도로 박기정화백을 좋아했다.
그러나 선생께서는 지난 18일 운명하시어, 20일 남양주 영락동산에 안치됐다.
많은 분들의 추모 속에 분주히 길을 떠났지만, 쪽방 사람들은 죽어서도 마음대로 떠나지 못한다.
없는 연고자를 기다리며 한 달 동안 갇혀 있어야 하는 것이다. 약자는 죽어서도 차별받는 세상이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상주-
배우자 : 정기창
자 : 박영훈, 박영술, 녀 : 박영지
사위 : 이동엽, 자부 : 정재연, 정진희
글, 사진 / 조문호
'인사동 정보 > 인사동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류객 김의권, 낙엽 따라 가다. (0) | 2022.11.20 |
---|---|
황명걸 시인 추모제가 양평 '물안개공원'에서 열렸다. (1) | 2022.11.03 |
만화가 박기정 화백이 돌아가셨습니다. (2) | 2022.10.18 |
주홍수의 ‘토닥토닥 쓰담쓰담’, 스스로를 돌아보게 만든다. (0) | 2022.10.06 |
모독이 주는 카타르시스, 기국서의 ‘관객모독’이 돌아왔다.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