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동에서 시작된 개인전이 이번으로 70회를 맞은 금보성씨의 ‘한글민화 의자’전이

지난 1월26일부터 오는 2월 7일까지 인사동 ‘콩세유갤러리’에서 열린다.

 

금보성씨는 한글을 현대회화에 접목하여 다양한 작업을 해 왔다.

실험적 구상과 비구상, 설치와 조형에 이르기까지

장르의 구분 없이 한글의 형상성을 줄기차게 추구해왔다.

 

이번에 내놓은 작품 역시 조선시대의 대표적 팝아트인

민화의 정신을 끌어들여 한글과 연계시킨 작업이다.

 

그는 일찍부터 시를 쓰다 글자에 색이 입혀진 모습이

아름답다는 느낌이 들어 한글회화를 시작했다고 한다.

중견작가로 성장한 지금까지 왕성한 창작 욕구를 끊임없이 쏟아내고 있다.

 

그는 20세의 젊은 나이에 인사동 ‘동원화랑’에서 첫 개인전을 열었다고 한다.

그동안 관훈갤러리. 학고재. 리서울갤러리. 이노아트스페이스. 인사아트프라자갤러리.

콩세유갤러리 등 곳곳에서 수 많은 전시를 열었는데,

올해 열게 된 70회 개인전에 이르기까지 37년이 걸렸단다.

 

가족이 함께 모이는 설날에 선 보인 한글민화전은 효에 대한 메시지를 담았다.

민화는 그림을 통해 내면의 욕망을 이루려는 주술적 의미가 강하다.

재물과 부귀 그리고 자손 번영이 그 속내라면, 어쩌면 부적의 기능일수도 있겠다.

 

단순하게 민화적 이미지만 차용한 것이 아닌 시대적 정신을 이어받았는데,

그림을 통해 내면의 욕망을 이루려는 샤머니즘에 뿌리 두고 있다.

신분 상승이나 재물과 부귀 그리고 자손 번영이라는 주술적의미를 담았다.

 

흔한 의자를 통해 자기만의 효에 관한 메시지를 남긴 것이다.

다들 코로나로 힘든 시기에 조그만 위안이라도 주고 싶은 것 같다.

 

작가의 말에 의하면 의자라는 한자는 ‘기대할 의倚’와 ‘아들 자子’로

부모가 나이 들어 기댈 수 있는 곳이 자녀,  가족이라는 말이다.

의자의 다리가 자녀를 의미 하지만, 스승과 제자의 관계일수도 있단다.

 

부디 기댈 곳 없는 민중에게도 좋은 위안의 전시가 되길 바란다.

 

전시 소식을 뒤늦게 알았지만, 하필이면 전시가 끝나는 날 리뷰를 올리게 되었다.

오늘(7일)까지만 열리니, 금보성의 ‘한글민화 의자’전 보려면 서둘러야 한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