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와 평화를 외쳤던 히피문화가 새삼 절실해 진다.

물질문명에 망가진 자연과 인간성을 되살리는 문제는 이 시대 절대 절명의 문제다.

 

돈에 밀려 최소한의 존엄마저 상실한 노숙인을 친환경적인 삶으로 안내하여

인간으로서의 존엄도 지키고 자연도 살리는, 도랑치고 게 잡는 일이다.

 

지난 주말의 서울역광장은 따스한 햇살따라 노숙인이 많았다.

인근 교회에서 제공한 텐트로 서울역 광장에 텐트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때 마침, 코로나에 감염되어 떠난 빈 텐트 하나가 끌려 나오고 있었다.

 

외환위기 직후, 인근 교회 빈터에 텐트촌이 잠시 생긴 적은 있지만

서울역 광장에 공공연하게 텐트가 설치된 것은 처음이다. 

‘다시서기 지원센터’ 건물 주변의 20개를 비롯하여

경의선 2번 출구와, 1호선 2번 출구 앞의 텐트를 합하면 35개나 된다.

오 갈 곳 없는 노숙인들의 바람막이와 쉼터 역할을 톡톡히 해 준다.

 

노숙인 확진자들에게 독립된 공간이 절실했다.

확진자들의 재택 치료 방침이 나왔을 때, 집 없는 노숙인은 해당될 수 없었다.

서울역 광장에 머물던 노숙인이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았지만

병상 대기 순서에서 밀려 생활치료센터나 병원으로 이송되지 못했다.

노숙인들은 죽음조차 거리에서 기다릴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가까운 용산역 부근에도 텐트촌이 형성되어 있다.

용산역 구름다리 밑 빈터에 노숙인 텐트가 들어선 것은 8년 전이다.

풀숲이 우거져 사람의 눈길조차 닿지 않는 그 곳에 노숙인30여명이 살고 있다.

 

[용산 텐트촌]

다른 노숙인 쉼터와 달리 이곳은 공동체 생활이 어느 정도 정착되었다.

먹고 자는 간단한 일이라도 노숙인 스스로 해결할 때,

자립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의지가 생기는 것이다.

그래서 밥은 얻어먹지 말고 해 먹어야 한다.

 

[용산 텐트촌]

가끔은 물질의 탐욕에서 벗어난 히피 정신의 노숙인도 만날 수 있다.

어쩔 수 없이 세상에서 밀려 난 사람과 스스로 택한 사람은 하늘과 땅 차이다.

그들은 한 곳에 오래 머물지도 않지만, 이치를 깨우친 도인처럼 여유롭다.

 

[용산 텐트촌]

사회에서 밀려 난 노숙인도 처음엔 절망의 늪에서 몸부림치지만,

흐르는 세월 따라 불안과 조급증도 서서히 사라지고 담담해 진다.

욕심 부릴 건덕지가 없으니. 무소유의 가치도 알게 된다.

그런 분들에게 삶의 가치를 안겨주는 일이 중요하다.

 

한 때는 물질문명을 기피한 히피운동이 바람을 탄 적도 있었다.

66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작된 히피운동은 기존 사회 질서를 부정하고,

자유와 평화를 사랑하는 정신적 가치에 무게를 두었다.

 

['우드스톡' 음반 자켓에 사용된 사진/ 스크랩]

특히 69년 미국 뉴욕 주 설리반 카운티 베델에서 열린 ‘우드스톡’은 문화적 충격을 안겨주었다.

‘히피 그리고 자유와 평화‘라는 메세지를 내건 록 페스티벌 ’우드스톡‘에는

지미 헨드릭스, 레드 제프린, 제퍼슨 에어플레인, 산타나. 재니스 조플린, 멜라니 사프카,

존 바이즈, 알로 거스리, 라비쌍거, 조 카커 등 내노라 하는 세계적 뮤지션들이 대거 참석했다.

 

[우드스톡 사진 / 스크랩]

약 50만명이나 되는 어마 어마한 사람들이 몰려

삼박 사일 동안 야외에서 자유롭게 축제를 즐겼으나 아무런 문제도 생기지 않았다.

해피 스모그 자욱한 기적의 향연장이라는 뒤늦은 소식과 현장사진에 입이 쩍 벌어졌다.

가보지 못해 안달하던 청춘의 회한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지배 문화에 저항하고, 반전 운동을 상징한 하나의 사건이었다.

 

[우드스톡 사진 / 스크랩]

히피라는 어원은 여러 가지로 추측하나 해피에서 나왔다는 설이 가장 타당성 있어 보인다.

아쉽게도 돈에 병든 기존 질서에서 히피문화는 뿌리 내릴 수 없었다.

그 잊혀 가는 히피문화가 새삼 떠오른 것은 빈민들의 주거문제도 절실하지만,

날로 심각해져 가는 환경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다시 불을 지필 필요가 있다.

 

시골에는 객지로 떠나버린 빈 마을이 도처에 늘렸지만, 사람이 살지 않는 골짜기가 더 좋다

지자체와 환경부, 복지부가 협력하여, 특정지역에 히피 촌을 만들어 보자.

먼저 가난한 예술가들과 자연을 사랑하는 환경운동가들이

지자체 도움을 받아 스스로의 낙원을 만드는 것이다.

 

오갈 곳 없는 노숙인이나 빈민부터 입주하는 것이 순서지만, 처음엔 갈 사람이 없을 것 같다.

외지로 쫓아낸다는 선입견 때문인데, 좋은 환경만 마련된다면 누가 마다하겠는가?

원시적 삶으로 돌아가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석기시대로 돌아가자는 말은 아니다.

대기오염의 주범인 자동차와 석유를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인 주거공간을 만들어,

농약이나 제초제를 사용하지 않는 등, 작은 일에서부터 하나하나 바꾸어 가는 것이다.

 

한 두 사람이 살 수 있는 조그만 움막과 토굴, 그리고 약간의 텃밭을 제공받아

서로가 협력하는 공동체를 끌어가도록 하는 것이다.

질서와 행정을 돕는 공무 차량과 대중교통 외에는 차량 출입도 제한하고,

대중교통도 인근 읍 소재지까지만 운행하면 된다.

 

돈맛에 병든 사람은 생각도 못할 일이지만,

얽매이는 곳 없는 사람이라면 나서 볼만한 일이다.

잘만 가꾼다면 낙원이 따로 있겠는가?

원시의 삶을 지향하는 예술혼들이 마을 곳곳을 장식하고,

아무나 따 먹을 수 있는 과일이 주렁주렁 열린,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그런 낙원 말이다.

 

그리고 친환경적 소재로 알려진 대마도 이곳부터 개방하여 활용하자.

어차피 대마의 실체가 알려져 더 이상 막기는 어려운 상황이 아니던가?

나무를 베지 않고도 얼마던지 종이와 밧줄을 만들 수 있고,

에너지 자원에서부터 인체에 유용한 약제에 이르기 까지

수많은 효능을 가진 신비의 약초로 검증된 지 이미 오래다.

기득권을 가진 재벌 농간에 정치적으로 놀아 난 통탄할 일이었다.

세상이 다 아는 사실을, 표 잃을까 눈치 보는 정치인들 보면 속이 뒤집어진다.

 

아마 히피 촌이 제대로만 만들어 진다면 세계적 명소가 될 수 있다.

유명세가 바람직한 일은 아니나, 제2 제3의 히피촌으로 확대할 수 있는 것이다.

물질문명에서 해방된 빈자들의 낙원을 만드는 꿈같은 일을 현실로 바꾸는 일이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