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금요일 서초동 한정식 선생 댁을 방문했다.

선생의 연락을 정영신씨가 받았는데, 찾아 뵌 지가 석 달이 넘었다는 것이다.

그동안 정선 집에 불이 나 정신없이 쫓아다니다 보니 세월 가는 줄 몰랐던 것 같다.

 

오랜만에 뵈어 그런지 안색이 좋아지셨다. 

전에는 삶에 대한 의욕이 없었는데, 삶의 의지가 느껴졌다.

또 하나 외형상 달라진 것은 제자 이일우씨가 사 주었다는 지팡이를 짚고 나섰다.

 

그 날은 가까운 식당들을 두고 자동차로 이동해 ‘늘봄’이란 고급 식당으로 안내했다.

얇게 자른 생고기에 야채를 곁들어 먹는데, 처음 먹는 음식이라 입 맛에 맞지 않았다.

 

선생께서도 귀가 어둡지만 나 역시 귀가 어두운 편이라

정영신씨가 통역을 해 주었는데, 선생께서 맛이 어떠냐?고 물었단다.

“촌놈이라 무슨 맛인지 모르겠다”고 답했는데, 정영신씨가 통역을 잘 못했다.

“아주 맛있다‘고 말해버린 것이다. 이 건 무슨 죄목으로 다스려야 할지 모르겠다.

 

그 날 반가운 소식도 전해 주었다.

작년 가을에 발간한 한정식선생의 산문집 ‘마구간 옆 고속도로’가 세종도서에 선정되었단다.

그리고 새로 나온 사진집 ‘가을에서 겨울로’도 선물하셨다.

일전에 경의선 책거리에 있는 눈빛출판사 ‘예술산책’에서 얼핏 보기는 했으나

다시 한 번 꼼꼼히 살펴볼 수 있었다.

 

사진이 주는 울림이 선생의 오랜 주제였던 ‘고요’보다 큰 것 같았다.

 

일 년 전 사진을 보여 줄 때만해도 스물 장으로 사진집을 만드는 것이

무리인 것 같았으나 기우에 불과했다. 사진은 량이 아니라 질이었다.

 

대부분의 사진집을 보면 쓸데없는(마음에 들지 않는)사진이 많아 대충 보게 되는데,

엄선된 사진은 한 장 한 장 꼼꼼히 살펴볼 수 있어 사진의 의미를 읽을 수 있었다.

 

책에 게재된 사진이라고는 열여덟 장뿐이고 글도 많지 않았다.

 

“가을이어서 쓸쓸한 게 아니라, 쓸쓸해서 가을임을 느낀다.

그리하여 내게는 봄도 가을이었다. 봄만 아니라 여름도 가을이고,

심지어 가을조차도 가을이었다.“

 

이 말이 선생의 글이고 마지막에는 경허스님 시로 대신했다.

 

“홀연히 생각하니 도시 몽중이로다

천만고 영웅호걸 북망산 무덤이요

부귀 문장 쓸데없다. 황천객을 면할 손가

오호라 이내 몸이 풀끝의 이슬이요 바람속의 등불이라“

 

짧은 글이지만 선생의 심정을 대변한 것으로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하겠는가?

 

‘눈빛출판사’에서 발행한 ‘가을에서 겨울로’사진집 가격은 3만원이다.

한정식 선생의 마지막사진집이며 소량 한정본이라 소장할 가치가 높다.

 

사진을 보니 아옹다옹 다투고 욕심 부리며 살지만, 다 필요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치 법문같았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