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 최울가가 서울서 전시를 한다기에, 정 동지를 앞 세워 평창동 ‘가나아트’로 갔다.

 

월요일의 이른 시간이라 그런지 전시장엔 아무도 없었는데,

1, 2, 3관으로 이어지는 넓은 전시장에 회화는 물론 조각과 드로잉까지

60여점이 제 자리를 지키 듯 경쾌한 놀이마당을 펼치고 있었다.

 

제목으로 내건 ‘화이트, 블랙, 레드+’ 시리즈는 물론 최근에 시작했다는 스티커 입체화도 있었다.

작품들은 전체적으로 깔끔하면서도 모던한 느낌을 주었다.

세삼 그의 천진무구한 즉흥적 자유로움에 경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일단 여느 작품처럼 무거워 보이거나 난해하지 않고 재미있었다.

그의 말처럼, 이번 전시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바로 재미와 즐거움이었다.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 꽃이나 어항, 물고기나 새, 그리고 상형문자 같은

기이하고도 자유분방한 이미지의 나열이 산만하지 않고 절제돼 보이는 까닭이 뭘까?

그건 바로 인간이 언어로 소통하기 전부터 남긴 벽화 이미지, 즉 원초적 미의식의 발로라 여겨진다.

 

왜 최울가가 국내뿐 아니라 해외화단에서 한국의 대표작가 중 한사람으로서 주목받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25년 전, 최울가 작업실에서...

 

난, 최울가를 40여 년 지켜보았다.

유목민처럼 세계를 떠돌며 작업하는 터라 자주 볼 수는 없지만, 만나면 술도 받아주고 용돈까지 챙겨주는 아우 같은 벗이다.

 

오래전 부산 남포동에 국악을 들려주는 ‘한마당’이란 술집을 차린 적이 있었는데,

우리 집 단골손님으로 드나들며 그와의 인연은 시작되었다.

물론 그 때는 가난한 무명화가였다.

 

그 무렵 자주 드나들던 화가 중 지금은 고인이 된 이존수와 박광호도 있었는데,

세 사람 모두 인사동에서 우연히 다시 만났다는 점도 우연치고는 남다르다.

 

다들 나름의 치열한 예술혼을 불태웠지만,

한 사람은 대학로 빨래집게 전시로 유명세를 타 돈은 벌었지만 돈이 사람을 망쳤고,

고집스러운 한 사람은 돈이 없어 고생하다 안타깝게 이승을 떴다.

그러나 최울가는 돈에 집착하지 않아 살아남았는지 모른다.

 

공교롭게도 세 작가의 작품을 모두 소장하고 있었는데, 안타깝게도 이번 정선 집 화재로 모두 태워버렸다.

 

오래 전 박광호도 자신의 그림을 모두 태운 적이 있지만,

최울가도 10여 년 전 뉴욕 그라피티의 자유분방함과 현대예술가 데미안 허스트의 실험적인 설치미술에 충격 받아 이전에 그려놓은 작품 200점을 미련 없이 불태워버리고 재충전 한 적이 있었다.

 

내가 애착가진 그림들은 왜 불과 연관이 있을까?

 

30년 전 최울가가 선물했던 불 탄 작품은 아직도 눈에 선하다.

비 오는 날 개울가에 한 아이가 쪼그려 앉아 우산을 받쳐 들고 있었는데, 그 아래 개구리 한 마리가 있었다.

비 맞는 개구리를 걱정하는 여린 동심이 고스란히 느껴졌다.

 

그 당시 최울가 작품은 대부분 시적인 천진난만함이 깔려 있었다,

 

이제 유일하게 남은 작품마저 소실되었으니, 어찌 아깝지 않겠는가?

돈이 없어 생명줄과 마찬가지인 카메라를 전당포에 잡혀도

그림들은 팔지 않았는데, 그마저 나에겐 욕심이었단 말이던가?

 

이제 최울가의 사는 방법과 작품세계를 한 번 들여다보자.

 

‘Black & White’ 시리즈로 뉴욕 화단에서 주목 받은 최울가는 국내는 물론 파리, 베를린, 부다페스트 등 세계무대를 누벼왔다.

‘Black & White’ 시리즈에는 일상적 삶과 관련된 요소들로 채워졌다.

관계성 없는 사물들의 무질서한 공존은 작가가 가진 무의식의 세계였다.

 

특징짓는 검은색과 흰색은 그가 생각하는 우주와 빛의 근원에 가장 가까운 색이다.

이  두 가지 색을 사용해 그는 원시적 생명력을 표현한 것이다.

 

최울가는 30년 넘게 유목민처럼 세계를 떠돌았다.

뒤늦게 파리국립장식예술학교와 베르사유미술학교를 나와 2000년 뉴욕으로 건너갔다.

파주 헤이리 작업실에서는 아시아권으로 파리에서는 유럽권, 그리고 뉴욕에서는 북미 지역을 넘나들었다.

 

자리가 잡힐 만하면 익숙해 진 삶의 공간을 떠나 다시 낮선 곳으로 떠나갔다

그래서 그의 이름자 앞에는 유목민이란 말이 항상 따라 다닌다.

아마 그의 몸에 새로운 땅을 찾는 유목민의 피가 흐르나보다.

 

유목민처럼 떠돈 것은 그 낮 선 이질적 공간에 질서를 부여하여 다시 동질적 공간으로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그 현실적 공간이 작가의 몸을 통해서 회화적 공간으로 다시 재현되는 것이다.

그래서 그다지 달라진 것이 없는 것 같은 데도,

낮 선 세계, 즉 새로운 장소에 거주하는 경험 자체가 작품에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것 같다.

 

그리고 삶터의 이동이라는 유목성이 최울가 예술의 한 축이라고 한다면,

중복되는 이미지와 중첩적인 텍스트 사이의 유동성이 최울가 예술의 또 다른 축을 이룬다.

인생이나 예술이나 본질적으로는 움직임 자체가 아니던가?

그 유동성이 특정한 감각적 방식으로 고정되어 하나의 구체적 형태를 가진 이미지로 재현된 것이다.

 

그는 사실적으로 재현하지 않고 원시적이며 초월적인 작품세계를 보여왔다.

원시성을 띤 그의 그림들은 너무 순수해 꿈을 꾸 듯 동화 속 한 장면을 대하는 것 같다.

 

다양한 도형을 바탕으로 한 그림들은 드로잉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드로잉 자체가 구석기시대부터 시작된 원초적인 표현방법이 아니던가. 작가의 고향이었던 울산 반구대 암각화가 연상되기도 했다.

사람이 등장하기도 하고, 동물이나 나무 같은 사물들이 무질서하게 그려 진 그림들은 원시적인 인간 본연의 삶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가치와 질서를 무시하는 그의 아나키적 화법도 한 몫 했다.

마치 아이들의 낙서와도 같은 그의 작업은 눈에 익숙한 잘 그린 그림과는 사뭇 다르다.

대상의 재현이 목표가 아니라 원초적 미의식에 바탕 했기 때문이다.

때로는 말하려는 것 자체가 자신을 가로막는 장애란 것도 깨달았다고 한다.

작가의 끝없는 자유로움이 새로운 변화를 끌어 낸 것이다.

 

최근 그는 기존의 캔버스에서 벗어나 더욱 다양한 매체와 형태의 작업을 시도한다.

이미지를 입체화한 세라믹조각과 스티커를 활용한 입체그림이 그중 하나다.

그의 신작 ‘Beetle Series’는 입체평면 스티커 작업으로 만들어졌다.

 

이전에도 종종 스티커를 배경에 부착해 화면에 변화를 주곤 했으나,

이번 연작들은 아이들이 스티커를 벽면에 붙이고 노는 것을 연상시킨다.

시계, 꽃병, 사람 머리 같은 시리즈를 구성하는 이미지를 에폭시 스티커로 채워놓았다.

재료든, 형식이든 테두리 안에 갇혀 있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읽힌다.

 

그림에 표기된 상형문자 같은 기호들은 바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의식에 다름 아니다.

기호로 채워진 그 촘촘한 세계야말로 우리가 바쁘게 살아가는 공간일 것이며,

원시성의 훼손에 대한 물질문명을 비판하는 그만의 놀이 법인 셈이다.

 

그의 그림들은 원초적 자유와 어린 시절의 순수한 감성을 끄집어낸다.

그리고 본연으로 돌아가라고 노래한다.

도식화된 삶을 살아가는 각박한 현대인들에게 깨우침을 준다.

 

최울가 최근모습, 인터넷에서 스크랩

 

최울가의 ‘화이트, 블랙, 레드+’전은 오는 30일까지라 며칠 남지 않았다.

(평창동 가나아트 / 02-720-1020)

 

사진, 글 / 조문호

 

전시를 보고나서 담배 생각이 나 옥상으로 올라가다 깜짝 놀랐다.

누구 작품인지 모르지만, 소녀가 거꾸로 서서 쩍 벌린채 내려다 보고 있었다.

미투 강박관념에 나도 모르게 줄행랑쳤다

아이구!  숨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