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명 微明

 

한상진展 / HANSANGJIN / 韓相振 / mixed media 

2021_0227 ▶ 2021_0310

 

한상진_무경계無境界-미명微明_2017-1

캔버스에 아크릴채색_53×45.5cm_2017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네오룩 아카이브 Vol.20200208c | 한상진展으로 갑니다.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관람시간 / 12:00pm~06:00pm / 일요일_12:00pm~05:00pm

 

 

갤러리 담

GALLERY DAM

서울 종로구 윤보선길 72(안국동 7-1번지)

Tel. +82.(0)2.738.2745

www.gallerydam.comcafe.daum.net/gallerydam

 

 

한상진 작가는 2000년 초반에 「문명의 침실」 연작을 시작으로 2010년 전후 「응시와 명상」 연작을 제작 발표했으며 최근까지 드로잉과 회화의 경계를 넘나들며, 사물의 지시성을 해체하는 작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 2021년 3월, 갤러리 담에서 발표하는 한상진 개인전-미명 微明 은 백두대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여정 속에서 바라본 풍경 속의 풍경이며 낮과 밤의 경계를 그린 것이다. 소멸과 생성의 시간, 가을과 겨울의 경계에서, 겨울과 봄의 경계에서, 새벽놀이 스미는 강원도의 붉은 숲 그리고 해질녘 지리산의 봉우리에 호흡하는 미명의 순간들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풍경의 표정이자 고정된 지시성으로부터 벗어난 사물의 은유이다. 산은 멀어지면서 가까워지고, 침묵을 통해 말하며 자신을 감추는 방식으로 드러낸다. 그의 작업은 바깥에서 이뤄진다고 말한다. 여기에서 밖이란, 보이는것과 보여지는 것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며, 내부와 외부가 만나는 장소이며 지시적인 언어의 내부가 열리는 자리임을 이야기한다. ● 이번 전시에는 전남 순천에서 작업한 painting & drawing으로 된 풍경 신작이 주로 등장할 예정이다. ■ 갤러리 담

 

 

한상진_무경계無境界-소멸消滅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53×45.5cm_2017

 

 

본인은 자기로부터 달라지는 풍경을 사유하는 작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삶 속에서 예술을 만나고 구체화시키려는 여정은 예술이 규정된 양식이나 형식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흐르고 변화하는 삶과 시간 속에서 발생하며 조우하는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따라서 본인은 풍경을 통해서 내가 나로부터 달라지는 지점을 통해 새로운 예술과 만나려 한다. 백두대간의 원시림과 산경(山經)은 이러한 맥락에서 본인에게 흥미로운 그림의 소재가 되어왔다.

 

 

한상진_무경계無境界-소멸消滅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91.3×72.7cm_2017

 

 

풍경은 잉여의 공간이다. 의미화 할 수 없는 빈 공간인 풍경(존재)은 부재로도 현전으로도 말할 수 없는 것이다. 의미를 통해 재현 불가능한 존재는 언어 이전에 있는 것이며 언어를 초과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존재는 의미가 아니며 보편성으로도 특수성으로도 환원될 수 없는 빈 공간을 포함하고 있다. 빈 공간은 의미에 달라붙어 있는 잉여와 같은 것으로서 보이지는 않으나 존재하는 것이다. 잉여 혹은 나머지로서의 빈 공간은 닫혀있는 집합을 완결되지 못하도록 여는 힘이며 보이지 않는 이 힘은 재현이 불가능한 '움직임'이다. 의미로의 재현 혹은 환원 불가능성은 라캉(Jacques Lacan)에게 있어서 귀환하는 실재의 흔적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이 친밀하고도 낯선 외상적인 실재와의 만남 속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상징화, 단순화 혹은 판타지를 통해 불가해한 빈 공간을 길들이며 적응한다고 믿는다. 따라서 풍경을 그리는 것은 고전적 의미의 풍경화가 아니며 풍경과 내가 만남으로써 나를 여는 것이다.

 

 

한상진_미명微明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30.5×194.5cm_2017

 

한상진_무경계無境界-미명微明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45.5×53cm_2018

 

 

불가능한 것과의 만남은 바타이유(Georges Bataille)의 재현 불가능한 순간들처럼 불가해한 삶의 비밀들과 연계된다. 고통과 쾌락이 동시에 작동하는 희열의 공간인 쥬이상스(jouissance)는 파괴적이며 알 수 없는 죽음충동을 동반한다. 일상 속에 사물과 풍경을 뒤틀어 놓는 죽음 충동은 아름다움 이면의 그림자, 잃어버린 조화에 대한 애도를 상기하게 한다. 불가능한 애도의 멜랑콜리(melancholy)한 흔적은 유령과 같은 모습으로 우리에게 출현한다. 혼자 걷는 길 위에서, 텅 빈 풍경에서, 봄날의 재난 속에서, 친근한 것과의 만남 속에서, 불면의 밤 속에서, 다시 보는 책의 한 페이지에서 친밀하면서도 낯선 이와 같은 경험은 경험할 수 없는 것을 경험하는 것이며 현실의 이중성 속에서만 이야기 될 수 있다. 의미로 종결되지 않는 죽음은 죽음이후에도 살아남아 유령처럼 출몰한다. 롤랑바르트(Roland Barthes)는 현실이 현실 이상이기라도 한 것처럼 사진이 사진을 넘어서는 지점을 이야기 한다. 본인에게 사진은 불가능한 기억과 회화를 이어주는 매개체가 된다. 이미지가 이미지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순간의 재현을 담은 재현적 원본의 지표(Index)를 넘어서는 잉여(punctum)를 몸의 회화를 통해서 만나는 것이다. 파여진 결들이 몸으로 스며들어 몸이 열리는 확장, 본인에게 풍경과 사물은 풍경의 결이 몸 안으로 들어오고 적요한 침묵의 틈으로 몸이 열리는 확장이다.

 

 

한상진_미명微明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53×45.5cm_2021

 

 

의미화 할 수 없는 불가능한 사물, 의미로부터 벗어난 몸은, 시야를 불가능하게 하는 일상 속의 풍경들에 매료되곤 한다. 흐릿한 창문 너머로 보이는 풍경에서, 어른어른하게 굴곡진 비닐 너머의 자리에서, 눈 내리는 겨울 풍경 속에서, 흐린 날에 불어오는 바람 속에서, 낮도 아니고 밤도 아닌, 미명의 그늘진 풍경 속에서, 목마른 바스락거림 속에서, 눈물 나는 날의 걷기 속에서... 과거의 희미한 기억과 감각을 소환하는 설명할 수 없는 흔적 혹은 얼룩은 풍경 속에 파고 들어와 풍경을 낯설게 한다. 나에게 말을 걸어오는 타자(풍경), 타자에게 열리는 나의 몸은 구분이 불가능하다. 안과 밖, 내부와 외부는 안이자 바깥이며 바깥이자 안이 된다. 몸은 여러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자를 향해 열릴 때 유한한 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삶속에서 안과 밖의 경계는 사라지며 풍경이라는 타자를 환대하는 나는 풍경 속에서 살아있는 나일 수 있다.

 

 

한상진_미명微明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53×45.5cm_2021

 

 

본인은 무경계(NO-BOUNDARY), 소요(逍遙)-흐르는 풍경이라는 무위(無爲)의 행위(行爲)를 통해 작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소요는 목적 없이 천천히 걷는 시간이며, 흔적이라는 타자를 환대하는 행위이자 주체를 여는 것이다. 그리고 본인은 소요(逍遙)를 무위(無爲)를 향한 열림과 고정된 이념(지시성)으로부터 떠남, 타자를 향한 노출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한다. 소요는 한가로이 노니는 것이기도 하지만 수치나 의미화로 환원 가능한 일과 분리된 또 다른 생산, 도래할 것으로서의 생산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노장의 핵심개념이기도 한 소요와 무위로서의 행위는 자연스러움 안에 스스로를 노출시키는 행위다. 따라서 본인의 작품은 소요를 통한 존재론적인 사유-서양의 사유와 동양의 사유가 만나는 자리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이야기한다. 소요는 본인의 작품이 생성되는 자리이며 오늘날의 세계가 필요로 하는 빈 공간이자 멈춤, 중지와 같은 개념들과 연관된다고 본다. 자본의 전체성, 즉 수치화를 통해 모든 존재를 의미로 환원시킬 수 있다고 보는 자본의 힘은 폭력적이다. 그러나 의미화를 불가능하게 하는 차이, 자기로부터 달라지는 자기 차이는 오디세우스(Odysseus)의 항해처럼 의미의 집으로 복귀하는 충만함의 원운동이 아니다. 전통적인 서양사유에 있어서 떠남은 경험을 통해 의미를 얻고 자아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확립하는 환원적인 내재성으로의 복귀이다. 그러나 소요는 최종적인 목적을 전제로 향해 나아가는 지양(止揚)이 아니며 무위(無爲)를 향한 길 떠남이다. 본인에게 소요, 응시와 명상은 치유(Healing)나 다듬어짐, 정화됨을 목적으로 행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결핍을 충족으로 보완하려는 의미론이 아니다. 어떤 의미에도 종속되지 않는 존재로서의 떠남이며, 의미의 장소로 돌아오지 못할 가능성 즉, 귀향의 불가능성을 포함하는 존재론적인 이끌림이다. ■ 한상진

 

 

Vol.20210227a | 한상진展 / HANSANGJIN / 韓相振 / mixed media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