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담 서숙희_차가 잘 다니지 않는 곳에 구멍가게를 내다_리넨에 아크릴채색_52×52cm_2015



춘천에서 활동하는 이담 서숙희씨의 ‘집과 밤’ 네 번째 개인전이

오는 19일부터 24일까지 종로구 통의동에 있는 ‘류가헌’에서 열린다.

낮과 밤을 나눈 그의 그림들은 일련의 그림 솜씨나 말 솜씨로,

보는 사람의 아늑한 감성을 건드리며, 말 걸어 오고 있었다.

보일락 말락  산길을 지나는 자동차의 자취가 어린 시절의 기억을 떠 올리게 했고,

안개에 가린 듯한 희뿌연 그림들은 마음속에 가라앉은 사무친 그리움을 들춰냈다.

조근 조근 속삭이는 말들은 마치 한 편의 시를 보듯, 긴 여운을 남긴다.

소설가 하창수씨가 “위안이 일방적인 획득이 아니라 주고받음이

예술의 소중한 덕목이라는 것을 그녀의 그림이 조용히 읊조려준다."했듯이

“내 그림이 다른 사람 마음에도 가 닿을 수 있기를 바란다.”는 작가의 뜻을 충분히 충족시켰다

.  
그 아늑하고 그리운 환몽(幻夢)의 세계로 여러분을 모신다.
개막식은 오는 19일 오후5시, ‘류가헌’(02-720-2010)이다.

글 / 조문호




이담 서숙희_숲속의 집-낮_리넨에 아크릴채색_91×61cm_2015

이담 서숙희_숲속의 집-밤_리넨에 아크릴채색_91×61cm_2015

이담 서숙희_집과밤_리넨에 아크릴채색_73×53cm_2016



환몽(幻夢)처럼, 아늑하고 아득하고 그리운... 


 '차가 잘 다니지 않는 곳에 구멍가게를 내다' 그림의 제목이다. 제목이 아니었으면, 저 옛날 매화초옥도에 그려진 초가집처럼 은자연한 풍경이라고 여겼을 법하다. '구멍가게'이니 의당 손님이 나들어야 할 텐데 '차가 잘 다니지 않는다'니 사람의 왕래가 적고 가게의 목적인 장사가 잘 될 턱이 없다. 그런데도 구멍가게 혹은 집을 둘러싼 초목은 푸르고, 나무는 점점이 흰 꽃을 피우고 의자들은 비어있으나 흐트러짐 없이 단정하다. '내다'에서 느껴지는 자의성처럼, 마치 일부러 그렇게 인적 드문 곳에 가게를 낸 것처럼도 여겨진다. 가게라는 세상과의 소통창구를 열어둔 채로, 자연 속에 홀로 의연하다. 마치 그림이 안개 같은 입자로 "그래도 괜찮아."라고, 귓가에 속삭이는 것만 같다.

 

'산을 지나가는 자동차' 또 다른 그림의 제목이다. 역시 제목이 아니었으면, 비구상 추상화라고 여겼을 법한 그림이다. 그런데 어둔 밤중에 홀로 서서 막연한 기다림으로 저 멀리 '산을 지나가는 자동차'를 한 번이라도 본 적이 있는 사람은 알 것이다. 깜깜한 어둠 속에서 별빛 같은 점으로 나타난 자동차가 헤드라이트 불빛을 비추며 어떻게 선으로 사라져가는 지를. 그 불빛에 어떻게 산이 능선을 내보이며 제 형체를 잠깐 드러냈다 다시 컴컴한 어둠 속에 묻히는 지를. 한 순간 설렘으로 환해진 마음이 어떻게 가뭇없이 그리움으로 어둑해지는 지를... 산도, 자동차도 보이지 않지만, 그 설렘과 그리움 사이의 어느 지점을 자동차는 지나고 있는 중이다. 그림을 보는 동안 "나의 어둠을 당신도 아는구나."라고 속엣 말로 되뇌게 된다.

 

낮과 밤으로 나뉘어 그려진 '숲 속의 집'을 비롯해 '물과 풀' '여량철교' 등의 제목을 한 다른 그림들도, 같은 화법(畫法) 또는 화법(話法)으로 말을 걸어온다. 말을 걸어옴으로써, 그림 앞에 오래 서 있게 한다. 이 그림들을 그린 화가 서숙희는 작가노트에 이렇게 썼다. "내가 그리는 그림이 나를 위로하기 위한 노력이기는 하지만, 다른 사람의 마음에도 가 닿을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또 이 그림들에 대해 소설가 하창수는 이렇게 썼다. "위안이 일방적인 획득이 아니라 주고받음이라는 것을, 이것이 예술의 소중한 덕목이라는 것을 그녀의 그림들은 조용히 읊조려준다." 그리고 덧붙인다. "짙고 깊게 화폭을 파고들어간 안개는 강의 흐름을 감추고, 자잘하게 절개한 상처와도 같은 무수한 세필자국을 감추고, 아득한 환몽(幻夢)의 세계로 우리를 이끌어간다. 아늑하고, 아득하고, 그립다." 글의 결미처럼, 화가 서숙희의 네 번째 개인전인 집과 밤의 그림들은, 아늑하고 아득하고 그리고 그립다. 류가헌

  


이담 서숙희_여량철교_리넨에 아크릴채색_73×53cm_2016

이담 서숙희_벚꽃놀이_리넨에 아크릴채색_73×53cm_2016

이담 서숙희_망초꽃핀운동장_리넨에 아크릴채색_73×60cm_2016

이담 서숙희_산을 지나가는 자동차_리넨에 아크릴채색_117×73cm_2016

이담 서숙희_산을 지나가는 자동차_순지에 아크릴채색_120×83cm_2015




그림이라는 이름의 자아, 혹은 위안과 꿈 - 이담 서숙희의 2016년 전시회에 부쳐


잭슨 폴락의 전시회를 둘러보던 한 미술담당 기자가 야릇한 미소를 띠며 고개를 갸웃거리자 곁에 있던 친구가 이유를 물었다. 기자는 시니컬하지만 매우 진지한 목소리로 말했다. "폴락이 말하길, 그림은 자아를 발견하는 일이라고 했지. 그래서 훌륭한 화가는 그 자신을 그린다고. 그런데……" 기자의 말을 가로챈 친구가 고개를 끄덕거리며 "그러니까 자넨 폴락의 그림에서 그의 자아를 발견하지 못했군. 하기야 이런 추상화에서 화가의 자아를 발견한다는 게 웃기는 일이지."하고 아는 소리를 했다. 하지만 이어진 기자의 대답은 전혀 달랐다. "아니, 폴락의 자아가 이렇게나 깊다는 것에 놀라고 있는 중이야."

 

서숙희의 2016년 전시회 그림들 앞에서 이 일화를 떠올린 건 형체를 색채 깊숙한 곳에 묻어버리거나 두터운 색채의 안개에 숨긴 채 보일락 말락 드러내는 그녀의 그림이 폴락의 추상화들과 겹쳐진 때문이 아니라, 우주의 청회색 가스층에서 발견한 화가의 자아에 나 또한 "이렇게나 깊었나?"하고 놀랐기 때문이다. 물론 내가 본 것이 그녀의 자아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 하지만 화가의 손을 떠난 그림은 작가의 손을 떠난 글이 그렇듯, 온전히 감상자에 의한, 감상자를 위한, 감상자의 것이다. 그러니 내가 그녀의 그림들에서 본 게 그녀의 자아가 아니라고 말할 수도 없다.

 

그런데, 그림에서 발견되는 자아란 무엇이며, 그림에서 자아를 발견하는 일은 어떤 가치를 가지며, 훌륭한 화가가 그 자신을 그린다는 건 무엇이며, 그 자신을 그리는 일은 또 어떤 가치를 가지는 것일까? 이 질문에 내놓을 수 있는 답은 무수히 많겠지만, 그림에 대한 안목이 짧고 얕은 나는 한 가지 답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그 답은 "오직 자신만이 그릴 수 있는 그림"이라는 말로 수렴된다. 오직 그만이 그릴 수 있으므로 '자아'라는 말을 붙일 수 있고, 그래서 그 그림이 가치 있는 그림인 것이다. 요컨대, 서숙희의 그림은 오직 그녀만이 그리며, 그녀만이 그릴 수 있다. 어디에서도 나는 그녀의 그림과 같은 그림을 본 적이 없다. '개성'이라는 단어에 모두 담을 수 없는 그녀의 독특과 유별은 무너뜨릴 수 없는 가치를 만들어낸다

 

서숙희의 지난 전시회들을 찾아왔던 사람들이 들려준 감상의 변들 가운데 압도적으로 많았던 것은 '위안'이었다. 그녀의 그림들에서 받게 되는 위안은 어쩌면 그녀로 하여금 붓을 놓지 않도록 만드는 가장 큰 이유일는지도 모른다. 독특과 유별이 화가 서숙희가 가질 만한 자부심이라면, 감상자들이 거의 공통적으로 받아가는 위안은 인간 서숙희에게 가져다주는 소중한 선물이란 생각이 든다. 사실 이 선물은 10년 전인 2006년의 전시회 사라지는 것들을 위하여에서 듬뿍 받은 것이기도 하다. 나는 그때 이렇게 쓴 적이 있다. "어떤 이는 이담의 그림에서 몇 줄의 시를 읽고, 어떤 이는 조곤조곤 긴 사설을 듣는다. 어떤 이는 그녀의 그림 앞에서 쓸쓸히 가슴을 쓸어내리고, 어떤 이는 가만히 입가에 미소를 머금는다. 이 상반된 반응이야말로 서숙희라는 화가의 매력이거니와, 그녀를 아는 사람은 다 아는, 뭐 하나 똑 부러지는 게 없는 그녀 특유의 '머뭇거림'이 그 이유다. 그런 그녀야말로 '사라지는 것들'에 대해 얘기할 수 있는, 바로 그 사람이지 않을까."

 

위안은 대상과 감상자의 눈이 같은 높이에 있을 때 얻게 된다. 그래서 우러러 보아야 하는 존경과 다르다. 위치를 달리하면 위압이 되는 존경은 그래서 위안을 주지 못한다. 태생부터 '높은 곳'과는 거리가 먼 서숙희에게 위안은 당연한 것이리라. 그녀의 머뭇거리는 발길은 그녀의 손을 잡게 하고, 대상에 대한 그녀의 연민은 그녀의 뒷모습을 물끄러미 바라보게 하며, 내면을 향한 그녀의 침잠은 우리를 서두르지 않게 만든다. 위안이 일방적인 획득이 아니라 주고받음이라는 것을, 이것이 예술의 소중한 덕목이라는 것을 그녀의 그림들은 조용히 읊조려준다.

 

서숙희의 그림들은 머물지 않고 흐르는 강과도 같다. 2006년과 2011, 두 번의 전시회에서 그녀의 그림들이 보여준 '변화'는 보기에 참 좋았다. 정통 문인화가 한 굽이를 흐르며 담묵과 순정한 선묘의 '사라지는 것들'로 바뀌고, 선묘가 옅은 안개에 가려지며 침잠의 여울로 건너간 것이 다섯 해 전까지의 일이다. 이제 2016년으로 건너온 그녀의 강은 또 한 번의 '다름'을 보여준다. 짙고 깊게 화폭을 파고들어간 안개는 강의 흐름을 감추고, 자잘하게 절개한 상처와도 같은 무수한 세필자국을 감추고, 아득한 환몽(幻夢)의 세계로 우리를 이끌어간다. 아늑하고, 아득하고, 그립다. 그녀가 오래, 그녀만의 그림으로, 늘 변화를 꿈꾸며 우리 곁에 있기를 빈다.


소설가 / 하창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