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승혜의 미술로 폼나게 살기]

 

미술로 하는 비즈니스 대화법 7가지


위대한 비즈니스는 가치로 환산할 수 없는 것을 얻어내는, 즉 마음 도둑이다. 마케팅의 궁극은 단기 이윤이 아닌 인간을 둔다. 마음이 향하는 곳이 인간이어야 한다. 인간 감성의 상징인 예술로 비즈니스 대화를 하는 것은 감동을 나누는 것이다.

비즈니스관계에서 서먹서먹함을 없애기 위한 ‘ICE BREAKING’이 필요할 때 예술이 화제가 되면 가장 좋다. 특히 국제적인 비즈니스관계에서는 더욱 그렇다. 외국에서는 몇 살이냐, 집이 어디냐, 애들은 몇 명이냐를 갑자기 묻지 않기 때문이다. 보편적으로 예술과 스포츠가 가장 좋은 화젯거리다. 공통분모로 금방 친구가 될 수 있다. 점차 전 세계적으로 여성의 사회진출이 많아지는 요즘, 야구와 축구 이야기로 여성들과 공통화제를 만들기가 쉽지 않다. 예술이 더 보편적인 파워를 가진다.

비즈니스관계에서 미술로 부드럽게 하는 대화의 요령을 공유하고 싶다.

첫째, 미술이야기는 타이밍이다. 가장 중요한 결정 전에 갑자기 미술이야기를 꺼낸다면 진중함이 적어 보인다. 미술은 비즈니스 전후로 “Ice breaking”이라는 분위기를 부드럽게 해야 할 타이밍에 가장 적절하다. 예를 들어 이번 여름휴가에서 나는 사진을 찍으러 미술관에 가지 않았다. 그런데 나도 모르게 그 그림을 담아오고 싶은 마음에, 그 사진을 찍었다고 말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하면 어떨까? 순식간에 마음의 여유와 낭만을 아는 멋진 공감대가 살얼음이 사르르 녹기 시작할 것이다.

둘째, 미술이야기는 만능심리치료제이다. 좋아하는 그림을 이야기할 때는 첫사랑을 떠올리듯이 한다. 사연도 많고, 가슴도 뭉클한 추억을 전하는 것이다. 내가 왜 그 그림을 좋아하는지 나만의 이유가 있다. 어떤 점이 좋은지를 구체적으로 묘사한다. 예를 들어 막연하게 신윤복의 그림을 좋아한다고 하지 말고, 새침한 눈빛, 머뭇거리는 입술, 갸름한 얼굴, 아담한 키, 이렇게 내 마음을 사로잡은 것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이야기를 듣는 상대방은 시각적 이미지로 연상하면서, 그 매력에 호응하면서 즐거움이 전달된다. 이니 둘은 마음이 친밀해져 있다. 마지막으로 신윤복의 그림 속의 여인이 첫사랑과 닮아서 지금도 가슴이 아린다고 말해보자. 아마도 신윤복의 그림을 볼 때마다, 당신을 기억하게 될 것이다.


미술로 이야기 하기는 서로가 서로에게 호응하는 것이다. 선지연, 'Resonance', 2014

 

셋째, 미술품 가격이야기는 격조(格調) 있게 한다. 미술품이 비싸다 싸다로 대화를 그치지 말자. 가격(價格)은 형식의 “격(格)”의 가치평가를 한다는 것이니, 미술품의 가격이야기는 형식의 예술적 완성도의 가치평가를 논할 정도로 격조 있게 해보자. 뉴욕타임스에 칼럼을 기고하는 에두아르도 포터 (Eduardo Porter)는 그의 저서 『모든 것의 가격 The Price of Everything』에서 가격은 개인의 자발적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경제학의 단편이 아니라 인류 전반에 걸친 역사와 문화에 그 영향력을 미친다고 했다. 미술품 가격을 격조 있게 하려면, 에드아르드 포터를 관점처럼 미술품의 가격이 역사와 문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언급하면 된다. 미술품이라는 인류의 문화적 성취가 얼마만큼의 가격으로 환원되는가를 각 사회의 물가와 비교하여 의견을 교환해 보자.

넷째, 미술품은 투자대상인가라는 주제에는 ‘블루칩’ 혹은 ‘블루 오션’이라고 답하자. 그림이 미래에 되팔 수 없게 된다면, 회수할 수 없는 매몰비용(sunk cost)이 아닌가라는 의구심에 대해, 기회비용(opportunity cost)을 말하자. 마음의 기쁨이라는 감정이 얼마인가라는 것을 생각한다면, 미술품의 가격이 높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당신이 투자한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마음의 기쁨을 느끼게 된다면, 이것보다 더 훌륭한 블루칩이 어디 있는가 하고 되물어 보면 어떨까? 그래서 나는 예술이라는 블루칩을 위해 문화 후원과 기부를 하고 있다고 말해보자.

다섯째, 앞으로 뜨는 그림이 무엇인가를 묻는다면, 시대의 취향(taste)에 호응한다고 하자. 시대의 취향이라는 것은 속칭 ‘대세 [trend]’라고도 표현한다. 대세는 더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는 작품이다. 무엇이 더 많은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가를 관찰하는 것은 시대의 정서를 읽는 것이다. 시대의 정서를 읽지 않는 마케팅은 없다고 해 보면 어떨까?

여섯째, 상대방에게 어떤 미술을 좋아하는지 묻는 것을 잊지 말자. 변함없이 질문은 가장 좋은 대화술이다. 예술에 대한 취향은 서로 당연히 달라야 하지만, 서로 호응해 주면 그 즐거움이 공감으로 몇 배가 되기 때문이다. 아름다움을 느끼는 각각의 취향을 호응하면서 최고의 친구를 얻는다. 감동을 나누면, 친구가 된다. 명심할 것은 상대방의 예술적 취향이 나와 다르더라도, 호응하는 마음가짐이다. 취향에 대한 평등한 가치 평가의 태도는 모든 사람은 문화적으로 평등하다는 “마음의 권리”의 첫 출발점이다.

마지막으로 미술로 이야기할 때에는 상대방의 마음을 얻는 큰 그림에 진심을 두자. 조선의 태종은 세자가 귀천을 막론하고 사람을 만남으로 마음을 얻는 것을 바란다고 했다. “내 마음이 향하는 곳을 알지 못하는가? 이제부터 앞으로는 세자를 만나보고 싶은 사람이 있으며, 비록 초야(草野)의 미천한 사람이라도 금지하여 물리치지 말고, 들어가 만날 수 있게 하라. 세자가 깊이 인심(人心)을 얻게 하는 것이 나의 뜻이다.” (태종실록 1418년 6월 21일)


[출처] 본 기사는 프리미엄조선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