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 만에 열한번째 시집 '사진관집 이층' 펴낸 신경림]

꿈에서 본 가족과 친구들 사진 찍듯 되살려 노래
"고향 떠난 것 같지만 제자리… 생각도 결국 꿈이더군요"


올해로 팔순을 맞은 신경림 시인(예술원 회원)은 요즘 세 가지 꿈을 꾼다고 한다. "얼마 남지 않은 내일에 대한 꿈도 꾸고 내가 사라지고 없을 세상에 대한 꿈도 꾼다. 때로는 그 꿈이 허황하게도 내 지난날을 재구성하기도 한다." 그런 시인이 꿈속의 시간여행을 노래한 시집 '사진관집 이층'(창비)을 최근 펴냈다. 6년 만에 내는 열한 번째 시집이다.

꿈꾼 풍경을 사진으로 찍은 듯이 선명하게 되살려냈다. 화려한 원색이 아니라 빛바랜 흑백사진이다. 시인을 만났더니 "나이가 든다고 달관하는 게 아니니까 자꾸 옛날로 돌아가면서 이렇게 시를 쓰지"라고 했다. 시어(詩語)로 인화한 추억의 사진엔 가난과 불행과 고통으로 얼룩진 가족사(家族史)가 사실적으로 담겨있다. '신경림 시학(詩學)'이라면 교과서에 수록된 '가난한 사랑 노래'가 대표하듯 빈곤과 결핍에 시달리는 민초(民草)들의 가슴 아픈 삶을 담담하게 묘사한 것이다. 이번 시집에선 시인이 누구보다 가난하게 살았던 체험을 고스란히 털어놓았다. '가난한 아내와 아내보다 더 가난한 나는'이란 시가 있다. "떠나온 지 마흔해가 넘었어도/나는 지금도 산비알 무허가촌에 산다"고 되돌아봤다. 여기엔 잊히지 않는 아픔이 있다. 충북 충주가 고향인 시인은 1956년 데뷔했다가 낙향한 뒤 1968년 가족을 이끌고 서울로 올라왔다. 서대문구 홍은동 산 일번지에 둥지를 틀었다. 부엌이 따로 없는 사글셋방이었다. 시인은 출판사와 잡지사를 옮겨 다니며 겨우 시를 썼다. 하지만 가족을 먹여 살리기엔 부족했다. 시인의 아내가 봉제공장에서 얻어온 헌옷에 단추를 달아 돈을 벌었다. 시인은 꿈속에서 그 판잣집 시절로 되돌아갔다. "도시락을 싸며 가난한 자기보다 더 가난한 내가 불쌍해/눈에 그렁그렁 고인 아내의 눈물과 더불어 산다"고 읊었다. 그 아내는 40여 년 전 암으로 세상을 떴다. 노년에 이른 시인은 꿈에 아내를 다시 만나곤 한다.


 

“나이 들면 체념이 많아지다 보니 언어가 진솔해지더라”며 지난 몇 해 사이 자주 꾼 꿈을 꾸밈없이 노래한 신경림 시인. /이덕훈 기자 

 

시인의 가족사는 고난의 연속이었다. 할머니는 치매, 아버지는 중풍을 앓았다. 세상을 뜬 가족이 자꾸 꿈에 나타난다. 시인은 시 '나의 마흔, 봄'에서 '그리워서 찾아가는, 그 봄이 싫다'고 했다. 시인에게 "힘드셨겠지만 '싫다'는 말씀은 반어법(反語法)이죠?"라고 물었더니 "그렇지, 싫어도 자꾸 꿈에 나타나는 걸 어떡해"라고 답했다.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세상을 뜬 친구들도 추억했다. 재야 철학자 민병산, 화가 여운이다. 민병산은 환갑 하루 전에 숨을 거뒀다. 시인은 준비했던 환갑 축하시를 조시(弔詩)로 바꿔야 했다. 하나둘씩 주변에서 떠나는 사람이 늘어났다. 시인은 빛바랜 사진 속으로 떠나간 사람들이 되돌아오는 꿈을 꾼다. 그러다 자신도 어느새 흑백사진에 갇혀있다는 꿈을 꾼다. 그런데 '비로소 나는 안도한다'고 노래했다.

시인이 되돌아본 지난 삶은 버렸던 것을 되찾아가는 과정이었다. 그런데 이젠 '당당히 빈손을'이란 시를 썼다. '찾았던 것들을 다시 버리는 기쁨은 더욱 크니까'라고 노래했다. 시인은 어린 시절, 고향 역전 사진관집 이층에 하숙을 하고 싶어 했다. 그곳에 살면 언제라도 기차를 타고 어디론가 떠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 꿈은 이뤄지지 않았지만 시인은 살아가면서 이곳저곳 여행을 다녔다. 그런데 요즘 꿈에 그 사진관이 자꾸 나타난다. '살아보지 못한 새로운 세상으로 가는 첫날을/다시 삐꺽대는 사진관집 이층에 가 머물고 싶다.' 시인은 헤어지기 전에 인생에 대해 몇마디 던졌다. "살아보니까 고향을 떠난 것 같아도 결국 제자리에서 맴돌았더라구. 꿈은 잠잘 때만 꾸는 게 아니야. 생각도 꿈이더라구."

 

[조선일보] 박해현문학전문기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