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된 Delivered

 

이종희(들로화)展 / LEECHONGHOE / 李鍾熙 / sculpture 

2022_0223 ▶ 2022_0307

 

이종희_배달된 마을 1_스티로폼, 신주못, 종이박스_40×60×40cm_2022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관람시간 / 10:00am~06:00pm

 

 

갤러리 아리수

GALLERY ARISOO

서울 종로구 인사동11길 13 1층 제1전시실

Tel. +82.(0)2.723.1661

galleryarisoo.com

 

 

유목(되어진)과 정착(달동네) ● 이종희 작업의 주요 화두는 "정착할 수 없는 삶에 대한 근원은?"이고, 현재까지 그 연속선상위에 있다고 본다. 이리 저리 수없이 이사를 다녔던 유년과 청년시절 그리고 작가로 살아가는 현재까지의 삶은 '비정주의 궤도'속에 있다. 작업을 처음 시작하던 시절의 그는 "왜 나는 계속 이주를 하는가?" 였다. 즉 정착하고 사는 삶에 대한 애원이 그의 작품속에 반영되어진 것이다.

 

이종희_배달된 마을 2_소나무에 스테인, 알루미늄_170×77×40cm_2022

대한민국이 산업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이촌향도'의 시절이 되었고, 사람들은 이동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이동'이라는 것을 가능하게 한 '자동차'에 주목하였다.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이야기'는 풍부한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특히 이삿짐을 잔뜩 꾸려서 트럭에 싣고 다니는 풍경은 대한민국의 유일한 풍경이 아닌가 싶다. 마치 피난민처럼. 산업화된 사회는 소달구지가 아닌 트럭을 제공하고. 그러던 중에 자동차의 최종 목적지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주한 그들의 종착역은 '달동네'였다. 다닥다닥 붙어사는 달동네의 삶은 우리시대의 욕망이다. 달동네의 풍경 또한 지구상에 있는 독특한 풍경이 되었다. 그러나 달동네도 재개발이라는 미명아래 해체된다. 사람들이 가진 자본의 크기만큼 뿔뿔히 흩어진다. 지상에서 '유토피아'를 꿈꿀수있는가? 그는 트럭에 달동네를 싣고 유토피아로 향하는 꿈을 꾼다. 우리는 정녕 정착할 수 없는가?

 

이종희_배달된 꽃섬_소나무에 스테인_48×305×11cm_2022

배달(되어진)과 복제(삶, 분단, 생각, 코로나, 통일)의 일상 ● 2019년 '코로나19'가 시작 되었을 때는 그냥 지나치는 한때의 독감처럼 생각했었다. 그러나 해를 거듭하며 우리옆에 존재하고 있다. 예술가로 살아가는 삶 자체도 별반 '만남'을 필요로 하지 않는데, 이제 '만남'은 필요충분조건이 되어야만 가능한 시절로 접어들었다. 친구, 친척, 가족들의 만남이 사라지면서, 그의 작업실 문앞에는 택배가 잦아들기 시작하였다. 마음을 전하는 형태의 코드가 '만남'에서 '택배'로 바뀌고 있다.

 

이종희_배달된 마을 3_스티로폼, 신주못_150×48×33.5cm_2022

그래도 곧 '코로나19'이전으로 돌아가겠지 하는 마음이 남아있지만, 현재의 우울은 우리 모두에게 깊은 상처로 남을 것이다. '택배'라는 이름으로 찾아온 '마음의 표현'은 복제된 종이박스나 스티로폼 박스의 외관을 형성한다. 박스안에는 먹을것과 생필품들이 주요한 구성원이다. 배달되어진 택배가 늘어나면서, 우리의 일상은 '배달'이 화두를 점령하고있다.

 

이종희_배달된 꽃달_은행나무, 시멘트에 스테인_156×70×34cm_2022

분만실(delivery room)은 천사들에 의해 배달되어지는 아기들의 방이다. 그는 어머니의 자궁으로부터 세상으로 배달되어졌다. 그는 그가 배달되어진 세상에서 그를 찾기 위한 '유목(nomad)'의 마침표를 작업실에서의 '정착(stayment)'으로 찍는다. 사실 그가 이세상의 중심이 되어 주체적으로 살고 있었다는 자부심은 한낱 착각이었다. '일상의 모든 것은 배달되어진 것이다' 라는 생각이 그의 작품의 출발이다.

 

이종희_배달된 보름달_청동에 유채_41×26×1.4cm×10_2022

어머니로부터 배달된 그, 칼 막스가 배달한 이데올르기, 강대국이 배달한 분단, 국경너머에서 배달된 코로나19, 자본의 크기로 배달된 마을. 배달(倍達)의 민족에게 배달(配達)되어진 것들에 대한 사유의 시각적 표현이 이번 전시의 주된 관심사이다. ■ 들로화

 

 

Vol.20220223e | 이종희(들로화)展 / LEECHONGHOE / 李鍾熙 / sculpture


잠재의식의 풍경Part2THE LANDSCAPE of THE SUBCONSCIOUS Part2

이종희展 / LEEJONGHEE / 李鍾熙 / installation

2013_1023 ▶ 2013_1102

 

 

이종희_잠재의식의 풍경_시멘트, 나무, 자동차부품, 돌, 도자기, 병_가변크기_2013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이종희 블로그로 갑니다.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관람시간 / 10:00am~06:00pm / 일요일_11:00am~05:00pm


장은선갤러리JANGEUNSUN GALLERY

서울 종로구 경운동 66-11번지Tel. +82.2.730.3533

www.galleryjang.com


버려진 에너지의 박제(剝製)된 아름다움 ● 차갑고 거친 시멘트, 단단함과 육중함, 그리고 그 속에 등장하는 고목들의 모습은 어떤 고지식한 조각가의 모습을 예견케한다. 마치 가벼운 현대 조각들에 반항이라도 하듯 작가는 태초의 조각가처럼 가장 무거운 돌과 가장 자연에 가까운 나무를 조각의 소재로 택했다. 나무와 시멘트는 마치 한 몸이었던 것처럼 잘 어우러진다. 실재로 작가는 멋진 나무를 구하기 위해 전국을 수소문하며 버려지는 멋진 고송을 찾아다닌다. 그 나무들은 전봉준 선생의 고창 생가이기도 했고, 소격동 기무사에서 버려진 나무이기도 했다. 각자의 히스토리를 지니고 있는 버려진 고송들인 것이다. ● 이종희는 버려진 사물에 대한 애정이 깊다. 그중에서도 특히, 어렸을 적부터 나무와 가까이 자란 때문인지 버려진 나무에 대한 애정은 더 하다. 버려진 사물에 대한 애정은 기본적으로 사물에 대한 애정에서 비롯된다. 내가 쓴 물건이든 남이 쓴 물건이든, 오랜 세월 누군가에게 사용된 물건에서는 어떤 이의 삶, 그 삶의 에너지가 녹아 있다고 생각한다. 기름때 잔뜩 묻은 자동차 엔진에서 오랜 작업의 고단함, 소진된 에너지의 아름다움을 발견한다고 하니, 그에게 그 자동차의 기름때는 마치 어느 늙은이의 아름다운 주름과도 같은 것일 게다. 늙은이의 주름 속에 세월이 흔적이 녹아 있듯, 누군가에 의해 오래 사용된 물건에는 그 물건과 사람이 함께 했던 시간들, 그 에너지들이 함께 하고 있는 것이다.

 

 


이종희_잠재의식의 풍경_시멘트, 나무, 자동차부품, 돌, 도자기, 병_가변크기_2013

현대미술에서 버려진 것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작가들은 많다. 특히 최근의 따뜻한 자본주의, 나눔의 열풍 때문인지 버려진 물건, 나눠 쓰고, 바꿔 쓰기 프로젝트 등이 다양한 예술의 형태로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조각가 이종희는 자신과 닮은 가장 육중한 조각의 형태로 버려진 사물에 대해 해석한다. 그리고 조각가답게 그 버려진 사물이 지닌 소진된 '에너지'에 집중한다. 버려진 사물들에 여운처럼 남아있는 에너지는 파편화되어 시멘트 돌 속에 압축되고 박제된다. 작가는 다 소진된 거친 에너지들의 아름다움을 차마 사라지게 놓아두지 못하고, 가장 차가워 보이는 시멘트 속에 가두어 카타르시스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종희_잠재의식의 풍경_시멘트, 나무, 자동차부품, 돌, 도자기, 병_가변크기_2013

 

 

 

이종희_잠재의식의 풍경_시멘트, 나무, 자동차부품, 돌, 도자기, 병_가변크기_2013

소진된 에너지, 그리고 그 에너지를 박제한다는 것은 곧 생명과 죽음을 의미한다. 생명과 죽음은 아주 오랜 기간 치명적인 매력을 지닌 소재였다. 에너지의 박제는 마치 데미안 허스트(Damien Hirst)의 박제된 생명체를, 그 멈추어 버린 에너지는 중국 쓰춴성 지진으로 부서진 기차를 전시장에 가져왔던 장후안(Zhang Huan)의 작업을 떠오르게 한다. 그러나 조각가로써의 정공법을 택한 이종희는 그 에너지를 시멘트와 나무로 박제시켜 거친 아름다움으로 재탄생시킨다. 그는 에너지의 박제된 아름다움에 자신의 에너지, 즉 육체노동과 숙련된 조각가의 기술을 가미하여 정통 조각가다운 방법으로 그 아름다움을 돌 속에 멈추어 있게 한다. ■ 도경민

 

 


이종희_잠재의식의 풍경_시멘트 향나무 돌 자동차부품_50×14×14cm_2013

Stuffed beauty of abandoned energy ● Cold and rough cement, hardness and massiveness, and shapes of old pine trees in them allow to foresee a straight-arrow sculptor. As if he resisted against light sculptures in modern days, the artist adopts the heaviest stone and the tree which is closest to the nature as materials for his sculpture like a primal sculptor. The tree and cement are in good harmony as though they were of one. The artist actually asks around the whole country to obtain a good tree and casts about abandoned but great old pine trees. Some of those trees were in Jeonbongjun's birthplace in Gochang and some others were ones abandoned in Defense Security Command, Sogyeok-dong. In other words, those were abandoned old trees with history of their own. ● Jonghee Lee has deep affection in abandoned objects. Among others, he is especially more affectionate in abandoned trees maybe because he was raised with trees near by. The affection on abandoned things originates basically from affection on things. Whether it is mine or other's, a thing used by someone for a long time embodies someone's life and that life's energy, I think. As he says that he discovers weariness of hard work and beauty of exhausted energy in a greasy car engine, the grease spot of that car is likely to seem like beautiful wrinkles of an old man to him. As a trace of time melts into the old man's wrinkles, a thing used by someone for long is with the time and energy spent together by the thing and its owner. ● There are a number of artists in modern art who talk about abandoned things. Perhaps from the recent warm capitalism and sharing boom, abandoned things and projects for sharing and exchanging things are displayed in many forms of art. The sculptor Jonghee Lee, however, interprets abandoned things in a form of the most massive sculpture which looks like himself. In addition, he concentrates on the exhausted 'energy' of the abandoned things like a genuine sculptor. The energy lingering on abandoned things is fragmented, compressed in cement stone and then stuffed. The artist cannot bear to let the beauty of exhausted and rough energy disappear and he traps it in cement which seems to be the coldest to seek cathartic beauty. ● The exhausted energy and stuffing that energy means life and death. Life and death has been materials with fatal attraction for a very long time. Stuffing energy reminds Damien Hirst's stuffed living things and its stopped energy recalls Zhang Huan's work which was to bring a train broken for an earthquake in Sichuan into the exhibition hall. Jonghee Lee, however, who chooses standard tactics as a sculptor, recreates that energy with rough beauty through stuffing it in cement and tree. on the stuffed beauty of energy, he adds his energy, in other words, physical labor and techniques of a skilled sculptor so he stops that beauty within the stone in a way of an orthodox sculptor. ■ Do, Kyoung-min

Vol.20131028h | 이종희展 / LEEJONGHEE / 李鍾熙 / installatio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