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삼일절엔 동자동 사진 찍느라 고향에서 열리는 '영산삼일민속문화제'는 커녕 '탑골공원'도 못갔다.

봄바람에 치마가 날리는 게 아니라 게양대에 걸린 태극기만 휘날렸다.

 

그 이튿날은 만사를 제쳐두고 정동지와 전시 보러 나섰다.

‘갤러리 브레송’에서 열리는 김동진의 ‘나의 살던 고향’ 부터 들렸다.

이른 시간이라 그런지 전시장은 조용했다.

 

전시작들은 작가의 고향인 만덕동의 오래전 모습을 살벌한 도심풍경에 빗대어 그리워했다.

자연과 주변 환경만 바뀐 게 아니라 인간의 정신까지 바뀌고 있음을 안타까워했다.

 

사라져버린 옛 시절을 그리워하는 사진가의 고향노래였다.

돈이면 모든 것이 해결되는 물질문명 속에 살아가며,

고향이란 말조차 잊어버린 현대인들에게 보내는 추억의 서사다.

 

이 전시는 3월 12일까지 열린다.

 

두 번째는 ‘나무화랑’에서 열리는 김인규씨의 ‘산 넘어 남촌'을 찾아 인사동으로 넘어갔다.

이 전시 역시 고향에 대한 향수로, 전시장 입구에는 ‘갤러리의 봄’이란 또 다른 현수막도 걸려 있었다.

 

봄은 실감할 수 없으나, 전시장은 온통 고향을 그리는 봄 노래였다.

 

‘나무화랑’으로 올라가니 전시 작가는 보이지 않고, 김진하관장을 비롯하여 정복수, 김 구, 장경호씨가 있었다.

 

작품들은 고향의 봄을 연상케 하는 소담한 풍경이었다.

화사한 파스텔 톤의 부드러운 색감이나 초가집과 구릉들이 나열된 공간구성.

거기에 평면적인 입체감을 두리 뭉실하게 드러내어 꿈인지 현실인지 아리송한 풍경으로 끌어갔다.

 

단조로운 내용이 오히려 눈길을 끌게 만들었다.

일체의 기교로부터 탈피한 그리기의 원형을 보여 주는듯한 소박함이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원초적 미감의 봄바람 같은 분위기였다.

 

포근하고 아늑한 화면은 조선 민화 같은 담백한 맛을 내는데,

마치 동화를 보는듯한 유치찬란함 그 자체였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구름처럼 몽실몽실 피어오르는 전시로, 13일까지 열린다.

 

화가 정복수씨의 술 마시러 가자는 꼬임에 끌려 장경호, 김구씨와 ‘사랑채’로 내려왔다.

운전 때문에 막걸리 한 잔만 마시기로 했으나, 한 잔으로 끝내기란 하늘의 별따기보다 더 어려웠다.

모시고 가야할 차주 눈치 보느라 술인지 맹물인지 분간할  수 없었다.

 

‘개마서원’의 장의균씨 내외와 안원규씨도 합류했다.

 

아직 보아야 할 전시가 남아 있어 오래 있을 수는 없었다.

‘갤러리담’에서 열리는 한상진씨의 ‘무경계’를 찾아 가다 거리에서 춤평론가 이만주씨를 만나기도 했다.

 

‘갤러리담’에는 전시작가 한상진씨를 비롯하여 최석태씨, '스마트협동조합' 서인형이사장 등 반가운 분도 여럿 있었다.

 

전시된 주요 작품은 먹 드로잉이었다.

작업실 주변이나 길에서 만난 하잘 것 없는 사물들을 형상화했다.

풀포기에서부터 하늘에 떠있는 구름에 이르기까지 아무런 경계 없이 먹으로 그렸다.

 

본래의 의미로부터 벗어나 버린, 버려진 사물에 대한 애착의 발로였다.

변해가는 사물이나 풍경처럼 세월을 멈출 수 없는 현대인의 고뇌를 담은 것 같았다.

무미건조하고 불안한 일상의 파편에 다름 아니다.

 

미술평론가 최석태씨 말로는 지난 전시보다 훨씬 단단해진 미감이라며 만족감을 표했다.

이 전시는 3월21일까지 열린다.

 

재미 사진가 김인태선생의 ‘선율’전이 열리는갤러리인사1010’으로 발길을 돌렸다.

 

15년 만에 찾은 김인태씨의 귀국 초대전은 장엄하면서도 아름다운 미국 대자연의 풍광을 보여주었다.

80년대 중반에 발표한 광활한 사구의 기하학적 구성을 드러낸 작품들도 눈길을 끌었다.

 

이번 '선율' 전에 나오는 작품들은 때로 사색에 빠져들게도 만들었다.

특히 시들어가는 꽃송이를 크로즈업 한 사진은 명상적이고 철학적인 사유가 담겨있다.

 

김인태의 ‘선율’전은 14일까지 열린다.

 

마지막으로 박진흥전시를 보러 '갤러리 더원'에 들렸다.

박진흥씨는 박수근화백의 손자이고 박성남화백의 장남이다.

삼대째 그림을 그리지만, 박진흥 작품은 한번도 보지 못해 작정하고 나선 것이다.

 

박진흥의 '흙결의 시간, 그리고 목련'

박진흥씨의 ‘흙결의 시간, 그리고 목련’이 열리는 ‘갤러리 더원’은 문이 잠겨 있었다.

전시도 보지 못한 채 뒤풀이 장소인 ‘마중’으로 가야 했다.

 

'마중'에서 전시 작가인 박진흥씨는 물론, 부친 박성남화백도 만났다.

오랜 만에 만나 반갑기 그지없으나, 박성남씨의 능글능글한 농담은 변함 없었다.

 

작가의 흙에 대한 신뢰와 믿음이 얼마나 진지한지, 다시 인사동에 나올 수 밖에 없었다

이 전시는 13일까지 열리니, 인사동 봄바람 맞으며 전시보러 가자.

 

사진, 글 / 조문호

 

 

 

산 넘어 남촌에는

김인규展 / KIMINGYU / 金寅圭 / painting 

2023_0301 ▶ 2023_0313

 

김인규_몽유도_캔버스에 유채_115×240cm_2021

김인규 블로그_http://www.ingyu.net

 

초대일시 / 2023_0301_수요일_05:00pm

관람시간 / 11:00am~05:00pm

 

나무화랑

NAMU ARTIST'S SPACE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54-1 4층

Tel.+82.(0)2.722.7760

 

"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봄 바람이 거기서 불어오는 것일까? 그림은 무엇이길래 화가들은 그 형태도 없고 색도 보이지 않는 봄바람을 그리려 애쓰는 것일까. 더불어 산 너머 남촌에 사는 사람을 상상하며 그 이미지를 그리는 방식에 대해서 온갖 고민을 하는 것일까. ● 김인규의 이번 전시는 그런 봄바람과 같은 '그림 그리기'에 대한 자신의 생각·체질·표현 등의 고찰을 통해서, 그의 기존 그리기 방식으로부터 일탈을 시도한 작품들이다. 화가가 되기 훨씬 이전 미술을 아예 모르는 자연인으로 순수한 내면의 원초적 진술과 표현을 시도한 '미술 이전'의 그림이기도 하다. 물론 새롭게 그리더라도 결과적 이미지는 김인규만의 감성과 오랫동안 그의 몸에 축적된 그리기 솜씨, 그로부터 발생하는 형상과 분위기로 구성됨은 당연한 것 일 테다. 작업을 이끌어내는 프로세스와 그의 체질이 동반된 것이기도 할 것이고. 다만 그렇더라도 조형적 문법과 그리기 방식은, 그가 그동안 견지해왔던 작가적 스타일을 상당부분 전복하며 추구한 원형적인 것이라서 묘하게 프리미티브한 지점을 노출 한다.

 

김인규_산 너머 남촌에는_캔버스에 유채_45.5×137cm_2020~1
김인규_누가 살길래_캔버스에 유채_131.5×53cm_2020~1

일단 외적으로 두드러진 변화를 보자. 그의 전시 때마다 도드라졌던 개성적이고 도발적이었던 내용과 형상언어들이 지극히 단조롭고 소박하게 바뀌었다. 몰개성적인 느낌마저 자아낼 정도다. 일체의 현대성·작위성·회화적 기교로부터 벗어난, 그야말로 그리기의 원형이 천진난만함으로 화면에 번역되어 안착해 있다. 고명도. 부드럽고 화사한 파스텔 톤. 가슬가슬하니 습하지 않고 적당히 건조한 촉감. 고향의 봄을 연상시키는 소담한 풍경. 공기원근법이나 선원근법을 무시한 채 초가집·나무·구릉 등의 소재가 중첩된 공간구성. 거기에 명암법이 있는 듯 없는 듯, 평면적인 입체감이 몽글몽글하니 꿈인지 현실인지 그 풍광과 시제(時制)가 묘하게 비끼어 버린 화면. 언뜻 수십 년 전 시골 이발소 거울 위에 붙어 있던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나, 엄마 돼지 젖을 빠는 애기 돼지들과 "家化萬事成"이란 글씨가 씌어진 그림, 또는 고추 말리는 가을의 황금색 초가집 풍경화가 떠오른다. 대중들 눈높이와 등가인 삼각지나 남영동의 소위 상화(商畵)를 연상케 하는 분위기라는 것. 그런데 이상하게도 그런 '이발소 그림'의 패턴화된 반복성의 조형적 저급함이나 키치적 통속성과는 다르게, 차라리 조선 민화의 담백함과 유사한 맑음이 도드라진다. 평생을 시골에서 살며 곱게 늙은 할머니가 그린 듯 '어른의 아동화'라는 형용모순이라야 비로소 비유가 가능한 듯한 청아함도 있고. 그러면서도 그 말끔하고도 단아한 화면의 배면에서 은근히 청춘의 발랄함이 풍겨나오기도 한다. ● 아무튼 이 작품들에서는 규정하기 어려운 탈 개성, 탈 작가주의의 익명적 그리기 방식이 화면을 이끌고 있는 건 분명해 보인다. 그런데 이 그림들을 보는 나는 갸웃거린다. 일반적인 민화의 형식적 나이브함에 비한다면 뭔가 숙련된 화가의 여러 장치와 세련성이 묻어나와서다. 김인규=화가라는 나의 선행 정보가 작동해서 그런 것 일수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김인규의 미술에 대한 태도와 기량이 야기한 결과 때문이라 여겨진다. "나는 왜 그림을 그리는가? 미술은 내게 무엇인가? 그 형식은? 그렇다면 내 그림으로 나는 누구와 무엇을 하려고 하는가? "등의 사유와 질문이, 오래된 훈련과 감수성을 통해 배어나오는 미적 수준 때문일 것이다. 미술제도 바깥으로의 탈주를 위해 자신의 그리기 스타일에 코페르니쿠스적 전회를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미술에 대한 사유와 회화적 기량이 여전히 지워지지 않고 지문처럼 남아있어서 그런 모양이다. 그렇다면 이번 『산 너머 남촌에는』전의 역설적인 그리기에는, 그가 벗어나고자 했던 현대미술로부터의 떠남과 돌아옴이 동시에 공존하고 있는 셈이다. 시지프스처럼, 무거운 현대미술이란 돌덩이를 산꼭대기로 또 끌어올려야만 하는 고된 반복을 또 해야 한다는 것. 그게 화가의 운명이고, 성공이든 실패든 그 운명적인 것으로부터 탈주 시도가 바로 작업의 변주이자 실험에 해당하는 것이니까. 그것은 기존 미술제도나 형식의 층위에서 다른 층위로 일탈을 감행할 때 더 빛이 난다. 김인규의 회화적 자기 전복도 자신에게 고착된 미술개념과 형식에 대한 거역이되, 또 다른 언어와 미술로 진화하려는 실험의 장(章)이라는 점에선 마찬가지다. 낯선 몽유도원이자 친근한 기억도원(記億桃園)에서 기호화된 형상을 통해 산 너머 남촌의 봄을 꿈꾸고, 거기에서부터 불어오는 춘풍을 대면해보자. 엄마 품의 안락 같기도, 애인 품의 향기 같기도 한 "나의 살던 고향"의 봄이 당신을 맞을 테니. 이 미술 이전에 건국된 "산 너머 남촌"공화국에서 통용되는 김인규의 형상언어가 감미롭게 당신의 귀에 속삭일 테니. ■ 김진하

 

김인규_은혜 갚은 까치_캔버스에 유채_45.5×53cm_2023
김인규_산길_캔버스에 유채_72.7×53cm_2023

나는 개인 작업을 해오긴 했지만, 한편으로는 개인작업을 하지 않기 위해 무던히 노력했었다. 오랜 세월 미술 교사로 있으면서 교육미술과 커뮤니티 미술활동을 중심에 놓고 살아왔던 터였다. 더우기 생계였던 미술교사를 하는데 있어서 개인작업은 커다란 걸림돌-미술교사에 집중할 수 없는 상태에 빠지곤 했기 때문에-이었기에 그것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마음먹곤 했다. 때때로 성공하기도 했지만 번번히 실패하곤 했다. ● 결국 개인작업에 대한 미련을 떨치지 못하고 급기야 학교를 떠났다. 나는 스스로 왜 그리 그림을 그리고 싶어했는지 궁금해 하곤 했다. 그 미련을 끝내 버릴 수 없었는지 궁금했다. 상당기간 그리기를 멈췄던 상황에서 '내가 무엇을 그려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봉착한 것과도 관련이 있었다. 이런 저런 생각 끝에, 혹시 '무엇을'이 아니라 '그린다'는 것 자체에 나의 욕구가 자리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반문이 들었다. 어린시절로 까마득히 거슬러 올라갔을 때도 느꼈을 그런 욕구말이다. 의도적으로 학습하기도 전에 마음 속에 스며들어 차곡차곡 쌓여 있던 것들 말이다. 나를 그리기 앞에 불러낸 것은 그런 이루지 못한 꿈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에 다다르게 되었다. ● 이에 나는 처음으로 돌아가보는 심정을 가지게 되었다. 그렇게 '내가 미술을 전문적으로 공부하지 않았다고 가정해보자'라고 마음먹었다. 전문적으로 배웠던 미술세계를 거둬내어 본다면 혹시, 사춘기 시절, 그보다 더 어린시절 내가 마음 속에 품었을 만한 욕구와 정서가 있고 거기에 알맞은 것이 있지는 않을까 하고 되물을 수 있었다. 때 마침 꽃 피는 봄, 산벚꽃이 만발한 풍경이 눈에 들어왔는데, 나의 정서가 그 속에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 나의 이런 풍경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 가능한 마음속으로 떠올려 풍경을 궁그리기 시작했다. 보이는 풍경이 가지는 사실성은 가능한 배제해야만 했다. 그래야만 마음 속 깊이 고여있을 그런 풍경과 정서를 퍼올릴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었다. ● 색과 붓질이나 대상을 다루는 기법들도 그것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물론 배운 것들이 어디 가겠냐만은 그것은 다시 재구성되는 재료로만 사용되어야 한다고 여겼다. 점차 거기에는 어떤 본연의 정서라고 하는 것이 있다고 여겨지게 되었다. 작업을 하면서 늘 음악을 듣는데, 오랫동안 서구 클래식 음악을 들어왔는데, 우연한 기회에 우리 전통음악을 듣기 시작하면서 그것이야 말로 나의 정서라는 확신이 들기 시작하였다. 서양음악을 듣다보면 공부를 하고 있다는 느낌이 드는 반면, 우리 전통음악은 그냥 어머니의 목소리를 듣는 듯한 느낌이 있는 것이었다. 그냥 몸에 들어와 착착 감기는 것이었다. 말 그대로 몸의 소리였다. 그것은 이미 내 안에 있는 것과 맞 닿아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나는 이미 산수화나 민속화와 같은 전통회화를 두루 검색하고 복기하고 있었다. 그것들은 더 나의 정서와 연결되어 있어 보였다.

 

김인규_폭포와 개구리_캔버스에 유채_59.4×42cm_2022

한편으로 보면 나의 목표는 어떤 이루지 못한 나의 고유한 원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룰 수 없는 원망이 남아있고, 이루지 못한 현실의 한계, 혹은 절망과 관련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 내가 젊은 시절에도 30대가 되어서야 미술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는데, 그것은 현실에서 더 이상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고 여겨졌을때였다. 한참 운동권으로 세상을 바꾸고자 했을 당시 미술활동은 그다지 나의 관심을 끌지 못하였고, 오히려 현실 운동에 직접 나섰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그런 일들이 허망해졌을 때, 내가 부여잡았던 것은 미술작업이었다. 내가 더 이상 아무 것도 할 수 없다고 여겨졌을 때, 그 절망의 끝트머리에서 그나마 할 수 있는 일이 그리는 일이었이다. 그리고 미술교사 생활에 이끌려 작업을 밀쳐내곤 했지만, 끝내 다시 잡곤했던 것은 그게 이루지 못한, 남아있는 원망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것이었다. ● 가만히 보면 나의 풍경은 결국 몸이다. 몸이 풍경이 된 것이다. 생각하는 머리나 의지를 가진 팔과 다리가 다 사라지고 몸만 남아있다면, 어쩌면 그것은 땅과 같은 것일 수 있다. 남자와 여자로도 나눠지지 않고, 심지어는 사람과 동물로도, 동물과 식물로도 나누지지 않은 그런 몸까지 다가간다면, 아마도 남아있는 기관이 있다면 생식, 혹은 생리에 관련된 기관들일 것이다. 그것은 죽음의 경계에서 삶을 영위하는 몸이다. 산수화에는 산과 폭포가 있는데 그것은 그런 원초성과 관련이 깊다는 생각이 들었다. ■ 김인규

 

Vol.20230305b | 김인규展 / KIMINGYU / 金寅圭 / paint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