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도예 1세대 작가 한봉림, 흙-불 다뤄 물질 상상력 속 조형 시각화

한국현대도예 1세대 작가 한봉림 초대전이 '전북도립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한봉림씨는 '영원한 운동’ 작가와의 대화에서

"작가는 쓸 데 없는 것을 만드는 게 예술이고 도예"라고 말했다.

도예는 늘 실용성과 관계지워져 왔기에 현대 도예는 ‘용도’를 벗어나 예술을 추구하기에 그렇다는 것이다.

 

작가는 1979년 공간예술대상전에서 현대 도예로 대상을 수상함으로 두각을 드러냈다.

당시 그의 작품은 두터운 천이 주름잡힌 모양새의 조형성으로

자연스러운 굴곡을 형성하면서도 전통적인 색감과 미감을 곁들여 주목을 끌었다.

그의 시도는 한국 현대 도예의 새로운 장르를 여는 것으로 촉망을 받았다.

 

1974년 원광대학교에 도예과를 창설하면서 내려 온 그는

한국 최고의 도예과로 부상시키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였다.

그가 자비로 1992년부터 개최했던 국제도예캠프는 96년도까지 이어지는데,

이는 제자들과 후배들에게 길을 열어 주는 것과 동시에 국제적 방향으로

현대 도예의 길을 개척하겠다는 강렬한 의지의 표명이었다.

 

2015년 전북도립미술관 아시아현대미술전 당시 그는 높이 2m 쯤 되는 ‘장승’ 작품을 출품하였다.

그것은 칼라풀하고 불규칙한 크기의 사각 형태를 2개의 수직 기둥으로 쌓아올린 작품이었다.

또한 매우 현대적인 동시에 전통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었다.

 

<영원한 운동>, 1986, 조합토, 망간유, 물레 성형, 62&times;130&times;90 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그의 작가 정신은 장르를 초월하는 성향을 갖는다.

그는 현대 도예의 성향을 도예라는 카테고리에 담아두기를 원치 않는다.

 

2017년 전북도립미술관 원로작가전 때에는 20여 개의 대형 평면에

즉흥적으로 뿌린 단청 물감의 흔적을 내보여 흥미를 끌었다.

순간적인 물감의 튀김과 번짐, 흘러내림을 그는 자유로운 예술 행위로 표현하고 있었다.

 

전북의 미술을 각성시키자는 취지로 펼치는 AX 그룹 운동에도 참여하면서

젊은 작가들 못지 않게 새롭고 열정적인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다.

 

<영원한 운동-7>(1986), 47*48*45, 조합토, 판 성형,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윤영필 학예사는 “한 시대를 앞서 간 외국 명문대학은 대부분 지역에 있고 전공에 따른 명문학과 역시 대체로 지역 도시에 존재한다. 한봉림의 열정은 일찍이 원광대에 부임해 도예 명문학과를 만들고 역량 있는 예술가들을 배출했다. 전문가로부터 도예과 하면 거론될 정도로 한강이남 최고의 명문 도예과를 만들었다. 전라도에서 흙을 만지고 도예를 배웠다면 그의 손길을 안 거쳐 간 사람은 없다. 그는 끝없이 갈구하며 도예를 진화시켜 나갔다.”고 설명했다. 도예가 한봉림(韓鳳林)은 홍익대 공예과를 졸업하고 공간대상 도예상(1979)을 받은바 있으며 원광대 미술대학 명예교수이자 한국현대도예 거장이다.

 

이애선 전북도립미술관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그만의 예술적 독창성에도 불구하고 전북과 한국 현대 도예에서 잘 평가되지 않은 작가의 도자 세계와 현대 도예에 대한 관심이 촉발되고, 나아가 한국 도예의 동시대적 의미를 재고하는 계기가 되기를기대한다”고 밝혔다.

 

<무제>(1979), 36*80*36, 조합토, 판 성형, 개인소장

전시 리뷰 대부분을 '전북도민일보'에 게재된 미술평론가 장석원씨의 글을 옮겼는데,

그는  전시 개막식 축사에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이번 전시는 전북 현대 도예사에서 지울 수 없는 기념비적 족적을 남기는 것이지만,

더 나아가서 한국 현대 도예사에서도 전무후무한 작가 정신을 온전히 보여주는 전시로 기록될 것이다.

그가 시도해 왔던 현대 도예로서의 창의적 정신은

예술이 우리 가슴에 살아 있는 한 지속적으로 빛을 발하게 될 것이다."

 

도예가 한봉림

이 전시는 2023년 3월 5일까지 열린다.

 


출처 : 전북도민일보,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금천뉴스, 시대일보, 뉴스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