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의 바다

한벽원미술관 초대-부스 개인展 

 

2022_0906 ▶ 2022_0918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1부 / 2022_0906 ▶ 2022_0912

참여작가 / 김진욱_박능생_박소연_서은애

손형우_송기원_신승연_안용선_유기중

이길우_이지연_정덕현_조성훈_최자운

 

2부 / 2022_0913 ▶ 2022_0918

참여작가 / 강현욱_김물_김지현_문기전

성태훈_오선영_유지환_이재선_장지은

전주희_정이슬_차은혜_최라윤_하대준

 

협찬 / 네오룩

관람시간 / 10:00am~06:00pm

 

한벽원미술관

HANBYEOKWON ART MUSEUM

서울 종로구 삼청로 83(팔판동 35-1번지)

Tel. +82.(0)2.732.3777

www.iwoljeon.org

 

시각의 바다: 지금의 한국 회화 ● 『시각의 바다』展은 평면 회화 작업을 꾸준히 지속해 온 작가 28인 작품을 한자리에 모은 뜻깊은 전시이다. 이 28인은 동양화와 서양화를 다루는 작가들이 망라되어있다. 또한 재료, 기법, 화풍, 주제, 제재 등도 모두 상이하다. 이는 장르의 경계, 재료의 경계 심지어 예술의 경계가 허물어지며 다변화, 다원화되고 있는 오늘날 미술의 특징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본 전시의 출품작가들에게서 찾을 수 있는 공통점이 없지는 않다. 그간의 꾸준한 작업과 치열함, 이를 통한 자기 세계의 구축과 심화 그리고 그 결과인 발전적인 변화가 그것이다.

 

강현욱_그 평화 that peace_유채_52×75cm_2022
김물_Trace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73×50cm_2021
김지현_지퍼 안의 풍경_종이에 혼합재료_38.5×52.5cm_2022
\김진욱_Hermit-6_장지에 먹, 아크릴채색_95×122cm_2021
문기전_관계풍경 Q-L-R 7 (Quantum-Landscape-Relationship)종이에 연필90&160cm_2021

 

박능생_눈 오는 거리_화선지에 수묵_97×72cm_2021
박소연_무제 Untitled_장지에 천연황칠염색, 먹, 자개, 황칠잎_45.5×53cm_2021

28인 작가들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회화 작업, 즉 "평면에 그리는" 방식의 작업을 고수해왔다는 것이다. 물론 이는 작가들의 본래 전공과 관련된 것이기는 하지만, 현대 미술의 양상을 생각해본다면 주목되는 바가 크다. 오늘날 미술에서는 설치, 영상, 사진, 입체 등의 작업 방식이 높게 평가받고 있으며, 실제 여타 작가들의 작업에 있어서도 주요한 방식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그리는" 평면의 회화 작업을 해오던 작가들 가운데에서도 이러한 새로운 방식에 관심을 기울이고 완전히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만큼 평면의 회화작업을 지속해왔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서은애_아무것도_종이에 채색_54×64.5cm_2022
성태훈_웃는매화_한지에 수묵, 아크릴채색_45.5×53cm_2022
손형우_미디어신인류_봄꽃낭만_장지에 혼합재료_73×91cm_2022
송기원_기억_한지에 혼합재료_130×162cm_2022
신승연_산을 오르다_장지에 분채, 금분_112×162cm_2022
안용선_획의(畫意)-십음(十音)_한지에 수묵_지름 30cm×10_2018
오선영_달의 바다_한지에 채색, 콜라주_96×86cm_2022
유기중_生-부유하는 먼지 위의 티끌_화선지에 먹, 채색_75×45cm_2022
유지환_Neo Last Supper_디아섹_80×120cm_2020

사회적, 문화적으로 시각 환경이 크게 달라진 오늘날의 상황 속에서 평면의 회화 작업은 어찌보면 심심하고 단조롭다. 형형색색의 영상 이미지와 컴퓨터 그래픽에 기반한 가상현실을 생활 곳곳에서 만나볼 수 있기 때문이다. 설치, 영상, 사진, 입체가 미술의 주요한 매체로 각광받는 것도 이러한 환경적인 영향과 이로 인한 사람들의 인지 및 인식의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 강렬한 시각성의 범람에 따라 기존의 회화 작품들이 상대적으로 소외되는 결과를 가져온 것이다. 그렇다면 회화는 그만큼 의미가 감소된 것일까. 이에 대한 답은 "그렇지 않다"이다.

 

이길우_뉴욕에서 만난 뿔테안경을 쓴 아이_, 장지에 채색,_155×106cm_2022
이재선_섬-Blue에디션_비단에 디지털 프린트, 채색_72×65cm_2022
이지연_별빛파크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72.7×90.9cm_2022
장지은_Trace-scape Deep Blue_한지에 혼합재료_140×100cm_2022
전주희_반영된 풍경_장지에 아크릴과슈_88×95cm_2022
정덕현_비포즈(非pose) 연작_종이에 먹_22.7×15.8cm×18_2022

달라진 환경 속에서도 사람의 정서를 순화하고 유쾌하게 하는 미술의 기능과 목적은 유효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공존해야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회화는 다소 거창하지만 오랜 미술의 역사와 전통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이고 중요한 장르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 작가들이 미처 인식하고 있지 못하더라도 그 작가들의 작품, 작품에 모두 스며있다. 또한 그러한 오랜 전통이 깔려있는 만큼 개별 작가들의 작품을 뜯어보면 뜯어볼수록 그 작품성과 깊이는 다른 장르와 비교하기 어려운 부분이 분명히 존재한다. 성급한 일반론이 될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대체로 사실이다. 따라서 오늘날의 바뀐 상황 속에서도 회화 작업은 중요성은 크다.

 

정이슬_남겨진 기억_캔버스에 유채_72.7×72.7cm_2021
조성훈_I was more worried about the croc than the people.캔버스에 유채_130.3&193.9cm_2017
차은혜_5:28PM_캔버스에 유채_33.5×61cm_2020
최라윤_태풍이 지난 후 After the end of storm_캔버스에 유채_187×125cm_2020
최자운_들고 나는 자리_캔버스에 유채_97×194cm_2017
하대준_인터페이스Interface3_연습지에 수묵, 아교_30×30cm_2022

28인의 작가들은 바로 이러한 중요한 작업을 그간 꾸준히 지속해온 것이다. 이들은 각자의 의 모색을 통해 개인의 예술세계를 발전시켜왔지만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보면 편향적으로 흐를 수 있는 오늘날 한국 미술의 방향타를 극단적으로 기울지 않도록 하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한국 미술의 균형 유지와 한국 회화의 발전적 모색에 일익을 담당한 셈이다. 『시각의 바다』展은 이와 같은 역할 맡아온 작가들의 근작을 선보이는 자리이다. 작가 개개인의 체험과 구상, 예술에서의 지향과 표현방식이 반영된 작품들은 그야말로 "시각의 바다"이다. 또한 이러한 시각의 바다는 지금의 한국 회화의 면면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러한 작업들이 완성형이 아니라 현재 진행형이라는 점이다. 앞으로 한국 회화에는 더욱 큰 기대를 걸어볼 수 있지 않을까. ■ 장준구

 

Vol.20220906d | 시각의 바다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