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면 Encounter

백다임展 / PAIKDAIM / 白茶林 / painting 

 

2022_0503 ▶ 2022_0515 / 월요일 휴관

 

백다임_POND 2019_Meongmul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53×41cm_2019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기획 / 2021 뉴 디스코스

선정 작가-사이아트

관람시간 / 12:00pm~06:00pm / 월요일 휴관

 

 

사이아트 스페이스

CYART SPACE

서울 종로구 윤보선길 28(안국동 63-1번지) B1

Tel. +82.(0)2.3141.8842

www.cyartspace.orgwww.42art.com

 

존재로서, 생명으로서 외부세계를 직면한다는 것에 대하여 백다임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하드앳지(hard-edge)적인 요소와 표현적인 요소가 동시에 드러나 있는 미묘한 느낌의 추상회화를 선보이게 된다. 작가는 그의 작업노트에서 자신의 작업이 작가와 작가 자신을 둘러싼 세계 사이의 대립 및 부조화 등으로 인한 불안감이나 고립감과 같은 인간 내면의 정서와 관련되어 있음을 밝히고 있으며 현재 진행되고 있 는 작업은 여기서 벗어나 자기 내면의 자발적 생명력에 집중하는 과정이 되고 있으며, 그것은 또한 작가 자신이 세계 와 관계하는 방법이 되고 있다는 점을 밝힌 바 있다.

 

백다임_Encounter 202026_나무패널에 아크릴채색_46.5×46.5cm×4(46.5×186cm)_2020

그의 작업을 살펴보면 도형의 일부를 그려낸 것처럼 선명한 형태 로 표현된 부분이 있는가 하면 형태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색이 번져 있거나 상호 침투하며 경계가 허물어진 것처럼 보이는 부분이 섞여서 한 화면에 동시에 드러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그가 언급한 것처럼 자신의 내면 세계와 외부 세계가 상호작용하는 것에 대해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가운데 그가 직관하게 된 것들이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작가는 아마도 자신의 작업이 그가 세계와 관계하는 과정과 유사한 현장이 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불명확하고 알 수 없는 외부 세계를 마주하는 것에 대해 작업을 해나가는 가운데 알아가고자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작가는 이처럼 그의 작업 과정에서 특별히 내면 세계와 외부 세계라는 두 방향의 인식적 토대를 지속적으로 대비시켜 이로부터 작업에 대한 이야기를 진행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작가는 이 두 방향이 서로 분리된 것이라기 보다 는 상호 작용하는 관계로 보고 있기에 작업에서는 부분적으로 형상이 명료해지는 부분을 그려내기도 하고 다른 부분 에서는 형상적 요소가 와해되거나 소멸되는 가운데 불확실하고 불명료한 흔적들만 남게 된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백다임_Encounter 210524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17×91cm_2021
백다임_Encounter 210526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17×91cm_2021
백다임_Encounter 211108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91×117cm_2021
백다임_Encounter 211227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91×117cm_2021

이러한 표현들은 작가가 바라보는 인간의 존재적 위치 혹은 존재적 상황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읽혀지고 있는데 작가 는 그의 작업에서 경계가 있는 분명한 것과 경계가 허물어져 있는 부분이 혼성적으로 겹쳐져 있도록 함으로써 때로는 분명한 의식으로 명확히 바라볼 수 있지만 때로는 불분명해 보이기도 하고 알 수 없는 불안감에 매몰되는 느낌을 받 게 되는 자신의 정서적 상황을 이처럼 대비되기도 하고 모호해지기도 하는 이미지들과 그에 따른 표현 방식을 통해 좀 더 감각적으로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보았던 것 같다. 그리고 이와 함께 작가는 이 두 가지 미묘한 다른 층위가 교차 되는 표현을 하는 가운데 두 개의 이질적인 평면이 마주치게 하고 그것들이 겹쳐져 만들어낸 예기치 않은 형상 및 색 채를 그대로 작업 속에 담아냄으로써 작업의 진행 과정에서 물질적 흔적으로 남겨진 시각적 상황들을 통해 작가는 자 신이 경험하게 되었던 것들을 작업 속에서 작가 스스로 직관하기를 원했던 것으로 보인다.

 

백다임_Encounter 220308_Meongmul, 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12×162cm_2022
백다임_Encounter 20205_Meongmul, 캔버스에 아크릴채색_91×117cm_2020
백다임_Encounter 202016_ Meongmul, 캔버스에 아크릴채색_32×164cm_2020
백다임_Pattern 140923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60.6×72.7cm_2014
백다임_Garden2020_Meongmul, 캔버스에 아크릴채색_73×53cm_2020

이와 같은 작가의 작업 방식과 태도를 보면 작가가 전시 주제로 제시한'직면'이라는 명제는 인간이 자신의 내면세 계를 향했던 시선을 외부세계로 돌리게 되었을 때 마주하게 되는 시각적 상황에 대한 것일 뿐만 아니라 세계 속에 던 져져 있는 것과 같은 존재론적 상황에 대해 중의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 같다. 인간이 마주하게 된 외부 세 계의 상황은 명확히 알 수 없는 미지의 영역이기에 이를 직면한다는 것은 불안 속에 머물러 있게 만들거나 깊은 고독 감에 빠져들도록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작가는 인간이 마주하게 된 세계에 대해 그리고 그 가운데 존재한다는 것에 대해 추상적 이미지들을 생산하는 것과 그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여러 프로세스를 수행해 나가는 가운데 작가 스스로 경험하게 된 것들을 전시장에서 드러내 보여줌으로써 그의 작업을 감상하는 이들에게도 작가가 경험하게 되었던 영역 에 대해 감각적 차원에서 접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 결과 이제 백다임 작가 는 외부세계로부터의 침투되는 것보다는 자신의 내부로부터 솟아나는 것들에 주목하는 지점에까지 이르게 된 것 같다. 작가는 이 내부에서 솟아나는 것들을 생명력이라고 지칭하고 있는데 존재로서, 그리고 생명으로서 외부세계와 상호작 용한다는 것은 결국 몸으로부터 살아있다는 것의 힘을 인식하는 것이라고 보고 이것이 세계 변화의 근거이자 토대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 작가는 그의 작업을 통해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 이승훈

 

백다임_Pond 20194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75×53cm_2019
백다임_Encounter 20209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30×72cm_2020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이 떠밀려 가는 불안함 가득한 일상의 연속이다. 나는 매순간 많은 정보와 선정적인 자극, 이미지들에 둘러 쌓여 끊임없는 선택과 판단을 해야 하는 상황 속에서 우왕좌왕 하고 있다. 잠시 외부로부터 위로나 기쁨을 얻으리라는 기대를 버리고 타인의 시선과 관심, 판단에서 벗어나 내 안의 소리에 집중하여 소소하고 단순한 기쁨과 재미를 찾아 어슬렁거려 보고 싶다. 간절히. 아스팔트 길바닥에 빗물이 흔적을 남겼다. 건조하고 무표정하던 길바닥이 빗물을 만나 생기로 반짝인다. 바닥에 잠시 고 인 빗물은 유연한 무늬를 만들어 내어 나의 눈길을 잡는다. 산들바람에 작은 물결까지 인다. 물끄러미 바라본다. 작은 물웅덩이는 알 수 없는 이야기와 이미지들을 잠시 머금고 있다가 곧 사라져 버릴 것이다. 나의 작업은 내 안의 생명력, 자발적 활동성을 평면 위에 이식하여 자리 잡게 하는 일이다. 화면을 구획하여 견고한 색 평면을 구축하고 그 평면 위에 자발적이며 즉흥적 움직임의 결과물인 물감 층을 올 려 놓는다. 바탕이 되는 색면은 무심하게 있다. 마치 시간의 흔적을 저장한 수많은 이야기가 스쳐간 도로나 길바 닥처럼 많은 자취를 품은 채 무심하게 있다. 그 바닥 위에 율동 하던 물감 층을 채취해 펼쳐 놓는다. 그리고 나 는 관찰자가 되어 색면과 물감층의 마주치는 과정을 지켜본다. 이것은 나와 나를 둘러싼 세계와의 대립과 부조화 로 생기는 불안감과 고립감에서 벗어나 내 안의 자발적 생명력에 집중하는 과정이며 세계와 관계하는 방법이다.

 

백다임_Pond 20192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73×91cm_2019
백다임_Encounter 20206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91×117cm_2020

내 주변세계와 타인을 온전히 속 깊이 들여다보고 이해하는 일이 가능한 것일까. 거의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 알려 할수록, 그래서 내 언어로 해석해 이해하려 할수록 낭패다. 그러나 내 자신이라면, 천천히 들여다보면 분명히 무언가 드러나 보이고 실마리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내 자신의 마음과 직면하고 타협하려 애써 볼만한 일이다. 깊숙이 응시하고 경험한다면 우선 나와의 소통을 가능하리라. '나'를 직면하고 부딪쳐 보는 것은 나와 마주한 세계와의 소통을 위한 '시작'이 될 것이다. ■ 백다임

 

 

Vol.20220503e | 백다임展 / PAIKDAIM / 白茶林 / paint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