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그 물질적 흔적으로서의 회화
Painting as Tangible Vestige of History

손장섭展 / SONJANGSUP / 孫壯燮 / painting
2017_0517 ▶ 2017_0618 / 월요일 휴관



손장섭_동도에서 서도를 보다 Looking at Seodo from Dongdo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97×291cm_2009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네오룩 아카이브 Vol.20120411g | 손장섭展으로 갑니다.


초대일시 / 2017_0517_수요일_05:00pm

관람시간 / 12:00pm~06:00pm / 월요일 휴관



학고재Hakgojae

서울 종로구 삼청로 50(소격동 70번지)

Tel. +82.(0)2.720.1527

hakgojae.com



역사, 그 물질적 흔적으로서의 회화: 손장섭의 2000년대의 회화 ● 2000년대 손장섭의 작업은 나무들과 자연 풍경을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그의 이러한 작업은 그를 민중미술 작가로 분류하도록 만들었던 1980년대 역사화 연작과 비교해 보면 많은 사람들에게 다소 낯설게 여겨질 수도 있을 것이다.(손장섭의 작품 전반에 관한 글은 성완경, 『삶의 길, 회화의 길: 손장섭』(샘터아트북, 1991)을 참조. 손장섭의 1980년대 역사화 연작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삶의 길, 회화의 길』에서 4장 「조선총독부」와 7장 「역사의 창」 연작을 참조.) 그렇다면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이러한 차이 혹은 변화는 어떻게 이해되어야만 할까? 작가 손장섭은 초기 자신의 작품세계를 규정했던 민중미술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미술적 실천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는가? 어떤 면에서는 그렇게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가 탐구하고 재현하는 주제들의 변화가 그의 작가정신과 작품세계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손장섭_울릉도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in Ulleungdo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45×112cm_2012


사실 자연사물과 풍경은 민중의 역사와 삶을 표현하였던 1980년대의 역사화 연작 시기에서도 손장섭의 주요한 탐구대상이었다. 이 시기에 이 자연 풍경은 당시에 손장섭이 주제적으로 그려냈던 민중들의 삶의 터전과 환경으로 등장하였다. 말하자면, 손장섭에게 자연 풍경은 현실의 삶과 역사에서 유리된 관조적 대상이 아니라 민중의 삶과 역사가 전개되고 있는 터전이자 그 역사가 배어있는 환경이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손장섭이 나무와 풍경을 그리는 것 자체는 민중미술로부터의 탈피가 아니라 반대로 민중미술을 실천하는 손장섭 고유의 방식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손장섭_인천 남동구 은행나무 Maidenhair Tree in Namdong-gu, Incheon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30×162cm_2016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실히 2000년대 나무 연작과 풍경화 연작은 1980년대 작품들과 비교하여 분명한 차이를 보여준다. 1980-90년대 풍경화에서는 풍경과 민중의 삶이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가령 「그물 손질하는 어부」(1989)와 「개울가 고추밭」(1990)과 같이 이 시기의 풍경화는 농부와 어부가 일하는 풍경이나 노동의 장소를 주로 다루었다. 또는 분단의 풍경과 일하는 사람들을 한 화면에서 결합시킴으로써 (가령 「철책과 굴조개 따는 여인들」(1990)), 작가는 한국의 자연 속에 첨예하게 살아있는 분단의 역사를 형상화해낸다. 반면에, 2000년대 작품들에서 나무와 자연 풍경은 하나의 배경이나 터전으로서가 아니라 그 자체가 중심적인 주제가 되고 있다.



손장섭_산신목 Tree of the Guardian Spirit of a Mountain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12×162cm_2008


그렇다면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읽어야 할까? 앞에서 말했듯이 손장섭에게 자연은 민중의 삶과 역사와 분리되어 나타나지 않는다. 이 둘의 관계를 이해하는 방식에서 손장섭의 2000년대 작품은 중요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1980년대에 자연은 민중의 삶의 터전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과 민중은 서로 유기적 관계 속에서 표현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작품들에서 자연은 민중의 삶의 배경이 아니라 민중 자체와 동일화된다. 그렇기 때문에 거기에서 소위 민중의 삶을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요소들은 거의 사라지고 나타나지 않는다. 그 자연이 곧 민중이기 때문이다. 요컨대, 민중을 이해하는 작가 손장섭의 시선은 자연을 바라보고 그리는 시선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손장섭_변산 신목 Sacred Tree in Byeonsan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73×91cm_2013


그렇다면 이 나무와 풍경을 통해 그려지는 민중은 어떠한 것인가? 1980년대 역사화 연작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민중은 억압받고 고통받는 존재로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그 억압에 저항하는 전투적 모습으로도 나타나지 않는다. 오히려 손장섭이 그리고 있는 저 나무들과 산들처럼 민중은 침묵 속에 있는 존재이다. 그러나 이 침묵은 어떤 무능력이나 수동성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반대로, 그 어떤 저항보다도 강력한 저항, 그 어떤 능동적인 행위보다 더 능동적인 존재로 나타난다. 요란하지도 않고 아우성치지도 않지만 500년을 넘게 한 자리에서 자신을 지키며 존재하는 저 나무들, 그것은 역사와 삶의 주체인 민중의 모습 자체인 것이다. 손장섭은 저 나무들과 자연 풍경 속에서 민중이 자연과 함께 가지고 있는 이 생명력과 힘을 포착해낸다. 이 근원적 힘은 고요하지만 역동적이다. 작가 손장섭은 여기에서 어떤 정신적인 숭고함을 보고 있는 것이다. ■ 유혜종


Painting as Tangible Vestige of History: SON Jang Sup’s Paintings from the 2000s ● Son Jang Sup focuses on trees and landscapes in his works from the 2000s. These works may feel rather unfamiliar compared to Son’s well-known history paintings from the 1980s, which categorized him as a Minjung artist, an artist of the people. How should this visible distinction or transition between the two groups of works be interpreted? Is it that Son is deviating from his defining earlier Minjung art and practicing a new path for his oeuvres? While this appears to be so, the transition of his works’ subjects does not signify the alteration of his overall artistic practice and oeuvres. ● In fact, nature and landscapes were Son’s primary subject even in the 1980s, the period in which he created the historical painting series. The nature and landscape in his works from this period were the foundation of life and of his principal subject, the people. In other words, nature was not an introspective subject disengaged from life and history; instead, it served as a site and foundation of ongoing life and history of the people, the grounds from which this ongoing life and history has been unfolded. With this perspective, Son’s painting of trees and landscapes is not breaking away from Minjung art. Instead, it is Son’s unique method of practicing Minjung art. ● Nonetheless, Son Jang Sup’s tree and landscape series from the 2000s are clearly distinct from his earlier works. In the earlier landscapes, nature and the people’s lives are directly united, usually depicting the site of labor for farmers or fishermen. Examples are seen in his Fishermen Tending Their Nets (1989) and The Pepper Farm by the Brook (1990). In another aspect, Son fuses the scenery of national divis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ith laborers into one picture screen, as seen in Security Fence and Women Picking Oysters (1990), embodying the acute reality of the division in his work. However, trees and nature themselves become the main subject matter in Son’s more recent works, rather than just background or the grounds for the people’s labor and living. ● So how could this shift be interpreted? As mentioned before, nature in Son Jang Sup’s work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history of the people. In Son’s recent works from the 2000s, nature shifts from a background for the people’s life and becomes the people themselves. For that reason, the elements that signify or are directly related to the lives of the people disappear in his works. In short, Son’s understanding of the people is reflected in his works through his observation and representation of nature. ● With this idea in mi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people depicted as trees and landscapes? The people are not depicted as oppressed or suffering, nor as resisting and antagonistic, as they were in Son’s historical paintings from the 1980s. Instead, the people are depicted as silent as the trees and mountains in his later work. However, this silence does not imply incapacity or passivity. In fact, it signifies just the opposite. The silence represents the most powerful resistance and the most determined and energetic force of the people. The calm and non-boisterous tree that exists and protects itself in one place for over 500 years is the very image of the essential force of history and life: the people. Son Jang Sup grasps the vitality and strength of the people and symbolically equates it to nature’s force and strength, a force evident in his trees and landscapes. His work captures this essential power as silent and tranquil, yet always as dynamic, embodying the spiritual sublimity of this force in his work. ■ Hyejong Yoo



Vol.20170517e | 손장섭展 / SONJANGSUP / 孫壯燮 / paint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