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가 류경선씨가 세상을 떠난 지가 벌써 일 년이 되었다.

중대사진동문들이 마련한 일주기 추모 사진전 개막식이 지난 16일 인사동 ‘경인미술관’3전시실에서 열렸다.

개막식에는 유가족을 비롯하여 사진가 강운구, 최인진, 최재영, 김녕만, 양재문, 차정환, 김종호, 이평수, 고 헌,

노연덕씨 등 많은 분들이 참석하여 고인을 기리는 시간을 가졌다.

전시된 사진들과 그가 사용했던 유품들을 돌아보니 지난날의 이런 저런 생각들이 떠올라 마음이 아팠다.

아마 ‘사진협회’ 이사장만 하지 않았더라면 그리 빨리 세상을 하직하지 않았을 것이란 생각을 늘 해왔다.

왜 쓸데없는 감투에 그리 집착했는지 모르겠다.
필자도 당시 ‘사협’을 개혁하려는 욕심에 두 차례에 걸쳐 이사장선거에 개입한 적이 있었다.

처음은 이명동선생을 후보로 모셨고, 두 번째는 류경선씨를 도왔는데, 두 분 모두 백현기씨의 치밀한 조직에 밀려났다.


이명동선생이야 선거비용을 주변에서 조달해 모셨으나, 류경선씨는 자기 돈 쓰 가며 집착했다.

그는 낙선해도 포기하지 않고, 끈질기게 매달려 기어이 그 뜻을 관철시켰다.

그러나 이사장에 당선되었지만 ‘사협’을 조금도 바꾸지 못했다. 출마의 변으로 변화와 창조란 캐치프레이즈를

내 걸고 부정과 비리를 척결하고 실추된 한사전을 새롭게 부활시키겠다고 내 세웠지만, 조직에 둘러싸여 못했다.

결국 임기 중에 병석에 드러누웠는데, 말은 하지 않았지만 얼마나 심적 고통이 컸겠는가?

그 이사장 자리가 엄청난 스트레스를 주었을 것인데,

전임이었던 문선호씨와 백현기씨도 이사장자리로 수명을 단축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 자리다툼과 공모전에 따른 이권 배분 등, 숱한 비리 한 복판에서 처신하기가 녹녹치 않았을 것이다.

류경선교수는 사진병으로 베트남전에 참전하며 사진인생을 시작했다.

서라벌예대 사진과를 거쳐 일본에 유학하여 줄곧 중앙대 사진과 교수로 재임하며 후학들을 양성해 왔다.

정년을 한 해 앞두고는 1톤 트럭을 개조해 0,5mm 구멍을 뚫은 세계에서 가장 큰 핀홀카메라를 만들어

전국 해변을 돌며 촬영하기도 했다.

마치 흐릿한 안경너머로 떠오르는 옛 그림자를 회상하는 듯한 ‘바다, 그 기억을 그리다’전이 그의 마지막 전시였다.


사진가는 작품으로 이야기해야 한다.

한 평생을 사진에 바친 그의 흔적치고는 너무 초라하다. 그를 대표할 만한 작품이 떠오르지 않는다.

그가 정년퇴임하여 자유로운 몸이 되었을 때, ‘사협’ 이사장에 머리 싸 맬 것이 아니라 작품활동에 혼신을 다했어야 했다.

명예롭지 못한 경력 한 줄에 모든 걸 바친 고인을 생각하니 너무 가슴 아파 드리는 말이다.

부디 저승에서나마 이승에서 못 다한 모든 걸 성취하길 기원한다.

사진,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