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을 마감하기 전에 ‘좋은 일 더 하자’ 간절”
칠순 넘어 눈뜬 ‘자비행’ 실천

 



월서 스님이 팔순을 맞아 서울 인사동 한국미술관에서 서예전을 연다.
“선묵일여(禪墨一如·선과 붓글씨는 둘이 아님)지요. 그래서 수행자들은 서예라고 부르지 않고 서도(書道)라고 합니다. 이 또한 도를 닦는 일이기 때문이지요.”


충북 보은 속리산 법주사 조실(정신적인 지도자)인 월서 스님이 팔순을 맞아 29일~5월5일 서울 인사동 한국미술관에서 서예전을 연다. 22일 서울 인사동에서 기자간담회를 연 그는 매일 자정에 일어나 새벽 5시까지 6개월 동안 정진하듯 300점의 글을 썼다고 소개했다. 전시회엔 그의 작품과 간직해온 옛 선사들의 작품 등 모두 40점이 나온다. 전시 수익금은 전액 동남아시아 빈민촌의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짓는 데 쓰인다.


그는 불국사·분황사·조계사 등의 주지를 지내고 선방 참선만 해오다 뒤늦게 어려운 아이들의 실상에 눈을 떴다. 조계종 대표단으로 2007년 방문한 북한에서 굶주리는 동포 어린이들을 본 뒤 그는 생애 첫 자선 서예전을 열었다. 자신의 힘으로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돕기 위해서였다.


2012년엔 캄보디아의 오지를 방문했다가 대부분의 학생들이 교과서도 없는 것을 보고 천호희망재단을 설립해 교과서와 학용품을 지원했다. 이어 프놈펜 시아누크왕립불교대학에 컴퓨터를 기증하고, 씨엠립 인근 바탐방 지뢰마을에는 쌀을 보시하기도 했다. 후원이나 협찬 없이 오로지 혼자 힘으로 해냈다. “자칫 잘못하면 업을 짓기에 부족하면 부족하는대로 하는 게 낫다”는 소신을 실천한 것이다.


출가 이전 한국전쟁 직후 전투경찰로 징집돼 지리산 공비토벌작전에 투입됐던 그는 사흘만에 입대 동기 2명의 전사를 겪었다. 제대한 뒤에도 고통에 시달리던 그는 지리산 실상사 약수암으로 고승 금오 스님을 찾아갔다. 금오 스님은 “나고 죽는 것보다 큰 일은 없다. 그 생사 일대사를 해결하려면 출가하라”는 말을 듣고 머리를 깎았다. 새벽마다 서도로 선정을 닦는 것도 생사의 분별을 넘기 위함이라고 그는 말했다.


“몇년 전부터 선후배와 도반들이 한명 한명 세상을 떠나는 것을 보니 더욱 무상이 느껴진다. 그러니 이 생을 마치기 전 좋은 일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더욱 간절해졌다. <보현행원품>에 나온대로 모든 좋은 일을 행해야할 마지막 기회가 아닌가. 그래서 아직 완성되지 못한 글씨나마 내놓게 됐다.”


그는 자신의 글씨에 대해 겸허했다. 그러나 함께 자리한 원로 서예가 구당 여원구 선생은 “월서 스님의 글은 추사 김정희의 서풍을 그대로 이어받아 서체에 기운이 있고, 격이 높다”고 평했다.


고요한 새벽녁 써낸 ‘상락아정’(常樂我淨·내가 맑아지니 항상 기쁘네)을 들어보인 노승의 입가로 오랜 묵빛같은 웃음이 번졌다.

[한겨레신문]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