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앉아보세요 Come Sit with Me

이우성/ LEEWOOSUNG / 李宇城 / painting

2023_0809 2023_0913 / ,월요일 휴관

이우성_해질녘 노을빛과 친구들 - 자투리로 만든 천에 아크릴과슈_260X600cm_2023

 

이우성 홈페이지_www.woosunglee.kr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관람시간 / 10:00am~06:00pm / ,월요일 휴관

 

학고재 본관

Hakgojae Gallery, Space 1

서울 종로구 삼청로 50

Tel. +82.(0)2.720.1524~6

www.hakgojae.com

@hakgojaegallery

www.facebook.com/hakgojaegallery

학고재 오룸

Hakgojae OROOM

online.hakgojae.com

 

지금, 사람 이우성은 자신의 현재를 고스란히 그림에 담는다. 작가의 고민과 상황이 작업에 반영되는 것이 어쩌면 당연함에도 지금을 그린다는 것을 강조하는 이유는, 그가 단순히 과거에 대한 기억이나 경험의 기록으로서 혹은 어떤 대상을 마치 상징으로서 반복적으로 등장시킨 판타지로 자신의 미래를 암시하고자 하는 치밀하게 의도된 계획이 없기 때문이다. 만약 현재가 삶을 관통하며 한 방향으로 흐르면서 느리게 펼쳐지는 시간이라고 한다면, 작가의 관심은 항상 그 당시의 '현재'에 있어왔고, 그는 그 현재로부터 파생된 여러 순간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소환해 왔다. 때로는 드로잉으로 속도감 있게 전개하거나, 드로잉을 이용한 애니메이션이나 설치로 표현하기도 하고, 천이나 캔버스에 아크릴, 아크릴 구아슈 혹은 수성페인트를 이용해 보여주기도 했다. 그림 속 인물, 사물, 풍경들은 자신의 주변과 일상에서 불러오지만 세부를 단순화한 선으로 묘사하거나 대상의 윤곽선을 그리기도 하고, 자세한 배경을 생략하고 색감을 부각한 평면적인 표현으로 일상적이지만 생경한 장면을 만든다. 30-40대 청년이면 한 번쯤은 겪어봄직한 불안, 우울, 좌절, 희망과 같은 감정들을 포함해 특정 사회적 이슈를 연상케 하는 상징적인 사물이나 인물, 혹은 인물과 풍경이 뒤섞인 구성은 지나치게 진지하지도 그렇다고 가볍지도 않은 무게감으로 작가의 10여 년의 작업 세계를 관통해 왔다.

 

이우성_과거에도, 지금도,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 - 천에 아크릴과슈_210X210cm_2023
이우성_생초록 오이 _천에 아크릴과슈, 아크릴 라텍스_210X210cm_2023

이우성의 여덟 번째 개인전인 여기 앉아보세요2023년 한국의 시간에서 살고 있는 작가의 '현재'를 어김없이 드러낸다. 주로 주변 친구, 미술을 하며 만난 동료, 가족 그리고 사물을 그려왔던 그의 작업 세계의 연장선상에 있는 작업들을 선보이는데, 이번에 작가는 '사람'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의 작업에서 사람은 항상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최근 몇 년의 팬데믹을 겪으면서 사회 안에서 고립된 삶과 거리를 둘 수밖에 없는 인간관계의 변화로 인해 한동안 사람보다는 풍경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었다. 지나온 시간의 흐름 속에서 맞이할 수밖에 없는 현재는, 작가가 지금 보여주는 '사람'에 대한 관심이 새삼스럽지 않은 것임을 얘기해 준다. 이우성의 2011년 그림들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당시 그는 현실과 그림의 격차를 관객에게 분명하게 인지시키면서도, 사각의 그림 안에서는 '마음껏' 자신의 의지와 생각을 드러냈다. 2012년의 첫 개인전 불 불 불에서 폭이 6미터 가까이 되는 캔버스에 그린 빽빽하게 채워진 군상 정면을 응시하는 사람들(2012)을 비롯해 사뭇 비장해 보이는 그림의 장면들이 보여주듯 촛불이나 활활 타오르는 오리배, 그리고 불을 등지고 노를 저으며 화면 밖 '정면'을 응시하는 남성의 모습은 어쩌면 모순되고 정처 없이 부유하는 작가(인간)의 여러 마음을 사람과 사물의 상징적인 표현을 통해 표출하고 있었다. 그런 작가의 상태는 자연스럽게 2013년 개인전 돌아가다 들어가다 내려오다 잡아먹다에서 전시장이라는 무대(미술)에서 온전한 몸으로써의 인물이라기보다는 파편화된 몸(작가)으로 작가로서의 고민, 불안, 분열, 모순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전시장 안팎에서 그림의 확장성과 한계를 경험하게 만들었던 그의 천 그림들은 2014년부터 접혔다 펼쳐지는 그림시리즈로 2015년 개인전 앞에서 끌고 뒤에서 밀며에서 본격적으로 전시장 내외부에서 선보였다. 풍경과 사람, 사물, 그리고 이들이 혼재된 이미지의 천 그림들은 이후 2017당신을 위해 준비했습니다의 개인전에서도 작게는 2미터, 크게는 10미터 넘는 크기의 작업으로 시도를 지속하면서 자신과 세계의 연결고리를 보다 적극적으로 만들어갔다. 나를 있게 하는 내 주변 지인들의 얼굴, 그리고 사회 안에서 익명의 누군가로 살아가는 집단으로서의 사람들은 그의 천위에서 펄럭이며 그들의 현재를 발산하고 있었다. 이우성은 관객이 이 현재의 목소리를 일상에서 더 가까이 봐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전시장 밖으로 나갔던 것이다. 그림을 여러 차례 접고 펼치며 주름을 만들면서, 만들어진 주름만큼 외부 풍경과 그리고 전시장 밖에 사람과 만남을 시도했지만 역설적이게도 그림들은 전시장 안에서 그 의미와 존재가 더 부각될 수밖에 없었고, 그의 대형 천 그림들은 다시 안으로 들어왔다. 접혔다 펼쳐지는 그림은 더 이상 접히지 않은 펼쳐진 형태로 점차 매체 자체에 더 무게가 실렸고, 거는 형식 보다는 천에 발리는 물감이 만드는 이미지의 모양에 더 충실해졌다.

 

이우성_대청마루에 앉아서, 오래된 나무색과 청색 그리고 작은 꽃 _ 캔버스에 아크릴과슈_162.2X130cm_2023
이우성_나는 이곳에 다시 올거야. 캔버스에 아크릴과슈_116.8X91cm_2023
이우성_붉은 색과 오렌지 빛 실루엣으로 그린 _ 캔버스에 아크릴과슈_91X91cm_2023
이우성_의자에 앉아 있는 사람, 두 번 반복해서 그린 _ 캔버스에 아크릴과슈_91X91cm_2023
 

여기 앉아보세요(2023)에서도 사물과 가족과 가까운 친구들의 군상을 그린 대형 천 그림들을 선보이는데, 가족과 친구들을 그린 두 작업은 기존과 달리 조각을 이어 붙여 만든 천에 그렸다. (엎치락뒤치락(2023), 해질녘 노을빛과 친구들(2023)). 마치 그들과 보냈던 중첩된 시간을 암시라도 하듯 여러 조각으로 이루어진 천에 물감이 발리면 그 이미지에 덮여 이음새는 보이지 않는다. 오직 그림의 뒷면에서만 보이지 않은 시간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 이우성의 현재를 드러내면서도 의도적으로 시차를 넘나드는 작품은 천 그림 연작 과거에도, 지금도, 앞으로도 변하지 않을(2023), 작가는 시대가 뒤섞인 여러 이미지가 각인되어 있는 돌무더기를 그렸다. 이모티콘처럼 보이는 상징들을 포함해 상형문자나 원시 동굴벽화에서 볼법한 이미지들은 마치 그의 그림에서 분절되어 있는 현재의 암각화로 거듭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다. 여기서 기존의 그의 그림에서는 볼 수 없었던 거대한 시차의 간극은 그가 캔버스에 아크릴 구아슈로 그린 자화상 연작 지금 작업 중입니다(2023)에서도 발견된다. 65×50cm로 동일한 크기의 10점으로 구성된 작가의 자화상은 그간의 전시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시리즈로, 성별을 알 수 없게 단순화한 인체 표현으로 일상의 여러 상황 속에 처한 자신의 모습을 그림일기처럼 보여준다. 이 연작 중 원시 동굴벽화를 연상케 하는 동물의 이미지와 사람 손바닥 실루엣을 배경으로 쪼그리고 앉아 핸드폰 화면을 들여다보는 인물과, 그 앞에 배경의 이미지를 그렸음직한 부스러진 작은 돌 조각 몇 개가 놓여 있는 그림이 있다. 배경의 동굴벽화 이미지는 아득한 과거로 느껴질 수 있지만, 그 거리를 무너뜨리며 현재로 돌려놓는 것은 벽화 이미지 중 하나인 하트와 고개를 숙이고 핸드폰을 보고 있는 인물이다. 그림의 근원은 원초적이고 먼 과거의 끈과 연결되어 있지만 동시에 작가의 그림에 대한 고뇌는 2023년 현재에 있는 것이다. 이우성의 자화상 연작 지금 작업 중입니다(2023)에서는 자신을 닮지 않았지만 자신으로 대변되는 인물이 그림 안에 등장하여 조심스럽게 얘기를 꺼내기 시작한다. 이번 전시에서 다른 인물화들과 달리 표현된 자화상 속 인물은, 비록 고개를 숙인 채 고뇌에 차 있지만 화면 안에서 종횡무진 인물의 재현으로부터의 자유로움을 만끽하며 자신의 괴로움을 맘껏 토해낸다. 식사를 하면서도, 컴퓨터 앞에서도, 화장실에서도, 길을 걸으면서도 사라지지 않는 고민과 걱정은 우울하고 답답하지만 단순화된 인물의 형상에게 그 짐을 조금이라도 대신 지게 해서 덜어내도 죄책감이 들지 않을 것만 같다. 현실에서 멀어진 인물의 표현이 작가에게 재현으로부터의 자유로움을 주었다면, 관객에게도 숨 쉴 틈을 주고 있기도 하다. 과거에는 다른 인물이나 사물, 혹은 풍경을 비현실적으로 구성하면서도 있을법한 상황으로 둔갑시켜 우회적으로 그림의 의미가 전달되었다면, 자화상 연작의 비현실적 존재는 현재의 누구라도 자신을 대입시켜 본인만의 현재 자화상으로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천에 그린 군상이나 확장된 인물화와 같은 사물을 그린 정물, 그리고 자화상 연작과는 달리, 인물화는 캔버스에 한 명이나 두 명이 짝을 이룬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10여 점의 캔버스 속 인물은 얼굴이나 상반신, 때로는 무릎 선에서 자르거나 전신으로 그려졌는데, 기존의 인물을 그린 그림들과 달리 평면적인 표현에서 살짝 비껴있다. 실루엣을 그린 붉은 색과 오렌지 빛 실루엣으로 그린(2023)이나 인물이 부재한 거울에 비친 내 모습은 사라지고(2023)를 제외하고는 화면의 인물은 기존의 '이우성식 표현'과 달리 재현의 강도가 확연하게 달라져 있는데, 그렇다고 예전과 크게 거리를 두지도 않는다.('이우성식 표현'이란 화면 안에 빛이 존재하지만 그것을 통한 음영이 최소한으로 되어 있고, 배경이나 세부적인 묘사가 생략되거나 단순화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여전히 배경이 생략되거나 옷의 주름이나 부분적으로 묘사가 단순화되어 있기도 하지만, 화면에서 특정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집중적으로 섬세하게 표현되었다. 그림자 없는 얼굴, 중간 회색톤으로 그린, 두 사람과 빛나는 파란색, 의자에 앉아 있는 사람, 두 번 반복해서 그린, 공부하는 사람, 연파란색이 머리와 배경으로 번진과 같은 작품 제목에서 작가가 그림에서 집중한 부분을 짐작해 볼 수 있다. 과거 제목에서 주로 인물의 행위, 상황을 상징하는 문장이나 단어를 사용해 왔던 것과 비교해 보면, 이번 인물에서는 그리기 자체에 무게를 두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각 그림의 인물에게서 작가가 만났을 당시에 받은 인상, 상황에서 느껴졌던 대기감과 같은 정서는 그림에서 톤이나 색감, 구도, 묘사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표현된다. 각 작품마다 상이하게 발현되는 인물의 가장 빛나는 부분을 드러내고자 섬세하게 생략과 집중을 조율해 나가려는 작가의 부단한 노력은 그림 속 손에서, 머리카락에서, 때로는 얼굴에 비춰진 빛의 묘사에서, 인물의 시선에서도 느껴진다. 작가가 보았을 그 빛나는 순간은 인물화의 시작이 된 주변 지인이나 가족과 같은 사적인 관계로부터 비롯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래서 인물은 그리고 싶은 사람이라기보다 '그릴 수 있는 사람'이라는 작가의 말이 설득력을 가진다.

 

이우성_여기 앉아보세요 _캔버스에 아크릴과슈_91X91cm_2023

작가의 시간은 현재를 그리고 있지만 더 넓고 길게 펼쳐서 봐야만 한다. 이번 전시의 그림들도 그런 긴 작가의 시간 안에서 진행되고 있는 여러 순간들이 지금 시점에서 마치 중간 결산처럼 수렴되어 보이는지도 모른다. 자유기고가 황윤중이 이우성의 그림이 '일상의 순간을 반짝이게 만들고 주변인들을 순간이나마 주인공으로 만들어내는 효과'를 내기 기대한 것처럼 작가는 이제껏 대상이 가장 빛나는 순간들을 그려오고 있었다.(황윤중, 불과 얼굴, 2017) 이번 전시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거나 새로이 등장하는 주변 인물이나 사물들은 과거와 다른 새로운 모습으로 현재의 컷을 구성하고 있다. 더 나아가 자신의 주변에서 시작되었지만 관객에게는 동시대를 살아가는 익명의 불특정 다수로 확장된다. 또한 세트처럼 둘이나 셋의 연속적인 장면처럼 보이는 그림들(여기 앉아보세요(2023), 거울에 비친 내 모습은 사라지고(2023))은 각 인물화에서 집중할 부분을 선택해서 그린 것처럼 부분을 통해 전체를 보고자 하는 작가의 태도와 맞닿아 있다. 무엇을 기록하고자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자연스럽게 그 순간에 대한 기록이 되어버린 그의 그림들은 아직 다 펼쳐지지 않은 현재, 지금의 순간을 대표하는 장면들인 것이다. 맹지영

 

이우성_지금 작업 중입니다 - 캔버스에 아크릴과슈_65.1X50cm_2023
이우성_지금 작업 중입니다 - 버스에 아크릴과슈_65.1X50cm_2023

People, Here, and Now Woosung Lee carries his present times in the works. The reason for emphasizing painting the present although reflecting painter's thoughts and situations into the works is most likely given, but Lee does not plan in detail to record his memories or experiences simply from his past or to elude the future through fantasy that brings objects repeatedly as a metaphor. If the present is slow moving time that only follows through one direction in life, his interest has always been around various subjects that are branched out from the 'present' at times. He sometimes shows the present dynamically using drawings ; or animations or installation of sets of drawings; or acrylic, acrylic gouache, or water-based paints on the fabric or canvas. The people, objects, and sceneries in his paintings were brought in from Lee's surroundings and everyday routines, but his painting styles - using simple lines to describe details or outlines of the objects, omitting details in the background to highlight colors - make them extraordinary. His not-too-heavy yet not-too-light approach has hit through the points that the viewers in their 30s and 40s can relate to not only their own feelings such as insecurity, depression, defeat, being fallen down, and hope but also symbolic objects, personnel, and scenes that are intertwined with specific social issues in last 10 years. Woosung Lee's 8th solo exhibition Come Sit with Me also carries his 'present' in the time of 2023 in Korea. It is an extension of his previous inspirations including friends, peer group, family, and objects; in this exhibition, however, he focuses a lot more on 'people.' People has been his primary source of inspirations but during and post pandemic, the social relationship has been shifted to the life that is isolated within and the relationships with the distance; hence, the scenes with people were replaced to sceneries without people. Therefore, his present that comes naturally from the past tells that his interests at present in 'people' is not surprising at all. Going back to Lee's works in 2011, he presented his own wills and thoughts 'to the fullest' within the works while clearly pointing out the difference between reality and what is in the paintings. In his first solo exhibition in 2012 Bul Bul Bul, he presented his and people's mind through metaphorical objects via People who are Staring Straight Ahead (2012) on almost six meters wide canvas and other bold and strong painting scenes like candles, active fire on the duck boat, and the man, who represented painter's mind (or everyone's) that is controversial and floating without directions, rowing against the fire while looking 'straight ahead' that is outside of the frame. In 2013, he showed his thoughts, insecurity, brokenness, and contradiction as a painter through a granulated body (as a painter) rather than the person having a whole body at the exhibition as a stage (art) in his solo exhibition, Returning Entering Descending Devouring. His canvas works that allowed viewers to experience limitations and possibility of expansion from inside of the exhibition space to outside and vice versa. Since then he has presented actively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exhibition space from the series, Folding and unfolding painting (2014) through the solo exhibition in 2015, Pulling from the Front, Pushing from Behind.Paintings on fabric work presenting sceneries, people, and its intertwined images were proactively created since his solo exhibition in 2017, My Dear, in the various sizes as small as two meters wide and as large as ten meters wide while continuing his experiment in creating connections between himself and the world around him. The faces of the people he knows bring meaning to his presence and the people who live anonymously within the society are effusing their present moments via his canvas. Lee brought things outside of the exhibition space because he wanted the voice of the present to be heard in real life. Folding and unfolding created natural wrinkles and marks. The more wrinkles and marks were added as he tried to arrange more meeting points in real life between his works and the viewers. Although it is quite ironic, however, his works were even better to be presented at the indoor exhibition space as its presence could be still and highlighted. Hence his large sized works came inside to the exhibition space. 'Folding and unfolding painting' was no longer folded, and it has become an expandable medium. Also rather than the method of hanging, the images of how colored materials on the canvas were made were more weighted. In Come Sit with Me (2023), large sized paintings on the canvas with ordinary moments of objects, family, and close friends are presented, however unlike the previous works, two paintings with family and friends are on the canvas made from small pieces that are stitched together. (Tumbling Around (2023), The Sunset and Friends (2023)). It seems that he offered hints about the overlaps in times with them by using small pieces to make the one large piece. Once the acrylic gouache colors are applied to the pieces of fabric, the lines between the two pieces are covered and no longer visible. The footprints of times only can be seen in the back of the canvas. In this exhibition, the work that represents Woosung Lee's present while hopping in between the times is the series, Eternal Story (2023). He painted a pile of stones that various images from different times are engraved without an order. Somewhat emoticon-like images and hieroglyphs or the images similar to ancient cave wall art seem revived as modern petroglyphs in his work. The time difference which has not been seen in his previous works can be found in his self-portrait series, I Am Still Working (2023), acrylic gouache on canvas. The self-portrait series that comprises ten pieces of same sized paintings (65x50cm) is a completely new kind that was not seen in his previous works. It tells the story of his everyday moments via abstracted forms of human beings as his very own self that looks gender-neutral. In this series, there is a painting that has animal images similar to ancient cave wall art, a person squatting and looking at the cellphone screen in the backdrop image of a human's palm silhouette, and small pebbles that might have been used for the cave wall art. The image of cave wall art could imply ancient times, but the image of the person looking at the cellphone and the heart-shaped image breaks the time distance and takes viewers all back to the present. The foundation of painting is primitive and connected to the story in the ancient times but the painter's thoughts are at present time of 2023. In Woosung Lee's self-portrait series I Am Still Working (2023), the personnel who does not resemble himself but represents him starts to appear and tells a story. Unlike other peoples' faces, the one in the self-portrait series expresses his pain while enjoying full freedom from recreating the faces in the scenes although the human-like image keeps its head down and looks serious. The worries and concerns that would not go away with having a meal, sitting in front of a computer, being in the toilet, and walking on the street are depressing and frustrating. However if the human-like image can take the burden of worrying and concerning about things, it will become perhaps guilt free. If expressing the personnel far from the reality gives freedom to the painter from recreating the objects, it might also be a breathing moment to viewers. In the past unrealistic compositions of images in people, objects, or sceneries got turned into somewhat realistic stories in order to deliver the meaning of each painting. However the existence of unrealistic images in the self-portrait series allows anyone at the present moment can apply themselves to make their own self-portraits. Unlike group images on the canvas or expanded portrait of people or objects, the portraits are composed of solo or paired images. The people in about ten different works are a bit off from normal two-dimensional images ; sometimes it is cut around the knee line or whole body or only face or torso. Except the painting of silhouette Red Color and Orange Lights Silhouette (2023) or the one with no people The Disappearance of the Self on the Mirror (2023), all images of people is different from typical 'Woosung Lee's style'('Woosung Lee's style' means that there are lights in the scenes but the contrast between these lights and shades exists minimally; and the background sceneries or detailed descriptions are sometimes omitted or simplified.) as it has different power in recreation but it is not far from his previous style. Still there is omitted background and simplified details in the wrinkles on the clothes and things but some parts are very highlighted and detailed compared to the others. Some titles of his work, Face with No Shadow, in Mid-Tone Gray, Two People and Bright Blue, A Person Sitting on a Chair, Painted Twice Repeatedly, A Studying Person, Smudged with Light Blue in the Head and Background, allows us to get an idea around where the painter was focused. The titles in his previous exhibitions described the action of human objects, symbolic sentences or words that symbolize certain situations, however in this exhibition he weighs heavily on the action of painting itself. The impressions that the painter got from individuals in each painting and the emotions of the atmosphere in certain situations were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ones, color palettes, compositions, and the degree of descriptions. The painter's endless efforts in keeping the balance between detailed omissions and focus in order to highlight certain parts of the people that appear differently in each work can be felt in the hands, hairs, even eyes, and sometimes through the lights that reflect on the face. The brightest moments were related to the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or friends. Therefore, the painter's note that the people (human object) in his works are not the one that he would like to paint but 'the one he can' makes sense. The painter's timespan should be seen beyond the horizon although he would be drawing the present. The works in this exhibition may be like sub-conclusions at present in elongated painter's time. As Yoon-Jung Hwang, freelance writer, expected Woosung Lee's works to be 'effects of making people around us be the main actors/actresses and turning ordinary moments to extraordinary,' the painter has captured the brightest moment of each object.(Yoon-Jung Hwang, Fire and Face, 2017) The new or repeatedly appeared people and other objects in this exhibition are created the new cuts at present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images. Stepping forwards, it is expanded to anonymous unspecified crowds from the few around the painter. Also the works that seem like two or more sequential scenes, Come Sit with Me (2023), The Disappearance of the Self on the Mirror (2023), meets the painter's attitude in looking into the bigger picture through emphasizing specific parts that were chosen. Although there is no intention of documenting the moments, naturally his works have become the records of moments that have not yet unfolded present; the representations of moments at present, now. Jee Young Mae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