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람의 꿈 ① 조각가 이영학
연탄집게·호미·돌쩌귀 … 그가 만지면 훨훨 나는 새가 된다
정선 아우라지 골짜기로 들어가
버려진 온갖 농기구에 새 숨결
수만 마리 새떼 나는 미술관 구상
3년 여 전국을 돌며 땅 관상을 본 뒤 강원도 정선군 북평면 문곡리 강변길 옛 남평초등학교 분교에 여생을
묻을 자리를 잡은 조각가 이영학씨. 평생 모아온 화강암 물확과 돌조각, 농기구 용품 등으로 자연보다
더 자연 같은 미술관을 지을 터다지기에 들어갔다. [정선=정재숙 문화전문기자]
짧지만 긴 인생을 꿈 하나에 걸고 간다. ‘내 멋대로 산다’는 자유와 나란히, 이 땅 사람들과 함께 호흡하는 의지가 빛난다. 제 이름 하나로 문화예술계에 길을 낸 이들을 만난다. 첫 인물은 전통과 자연을 하나로 만드는 작업에서 한국 조각의 뿌리를 찾는 이영학씨다.
그뿐이 아니다. 돌은 돌이고, 물은 물이며, 풀은 풀이다. 돌을 쪼아 사람을 만들어도 돌은 돌로 돌아간다. 얼굴은 풍상(風霜) 서린 돌로 변용된다. 물처럼 흐르고, 풀처럼 눕는 그의 조각은 작품이 아니라 생성과 소멸을 통해버린 허정(虛靜)의 말이다. 소설가 한수산은 그런 이영학의 조각세계를 ‘정적과 회귀’라고 요약했다.
한동안 이씨는 서울 수유리 공방에 돌과 마주앉아 한국인 얼굴로 노자(老子)의 말씀을 빚었다. ‘모가 나면 좀 무디게 한다’는 ‘좌기예(挫其銳)’를 육화한 그의 얼굴 조각에는 시간이 물처럼 고여 있다.
그러는 한편으로 온갖 잡동사니를 끌어 모아 새를 날렸다. 소설가 박완서는 생전에 “이영학의 작업실에서 나는 새가 된 나의 연탄집게와 식칼을 만났다”고 썼다. 낫과 호미와 쇠스랑이 접 붙어 새로 퍼덕이고, 엿가위가 소머리로 환생했다. 사진가 강운구씨는 “고물 쇠 쪼가리들을 훨훨 날게 하는 그이의 상상력은 새처럼 자유롭다”고 감탄했다.
물, 돌, 풀처럼 침묵하던 그가 강원도 정선으로 마음을 옮겼다. 북평면 문곡리 폐교에 평생 목숨처럼 끌어안고 살던 조각과 재료들을 모시고 새 길을 보고 있다. 흉금을 정에 담아 쪼음질을 하던 그가 이제 한국 땅을 두드려 국토 미술관을 만들겠다고 나섰다.
“무엇이든 고향으로 돌아가지요. 나는 정선 아우라지 골짜구니에서 고향을 봤습니다. 어디에 뿌리를 내릴까 참 많이 쏘다녔습니다. 작업실에 들어앉아 돌만 만지고 있을 때도 세파를 느끼며 주유했지요. 여기만은 내가 지키고 싶어요. 한국인의 얼굴과 마음으로 세계인에게 평온과 기쁨을 줄 수 있어요. 자연에 스며들어 그저 돌처럼, 물처럼, 풀처럼 보이는 미술관을 쪼고 있습니다.”
그는 5년 여 전부터 차근차근 돌을 옮기고 물길을 끌어들여 길을 내고 있다. 강에 떠내려가는 죽은 나무를 건져내 말렸다. 도시로 떠난 사람들이 폐가에 버리고 간 농기구를 챙겨 쟁여놓았다. 기둥과 문짝 사이에 끼어 닳아버린 돌쩌귀, 만삭의 아낙이 김을 매다 힘없이 놓쳐버린 호미, 어느 집 가장이 나뭇결에 대못을 박던 장도리, 모두 모여 작가의 손이 자신에게 영혼을 불어넣어주길 기다리고 있다.
“다른 것도 많은데 왜 새를 만드는지 아십니까. 저것들은 그저 물건이 아닙니다. 사람 손끝에서 길들여 지면 정이 쌓이고 혼이 고이죠. 그들이 새가 되어 날아가게 해주고 싶어요. 물건으로 살아온 설움을 황홀한 비상으로 풀어주는 거죠.”
그는 정선군 장터에 비어있는 옛 대형 곡물 창고를 새떼 수만 마리로 채운 미술관으로 꾸미는 꿈을 내비쳤다. 오만 가지 농기구가 각양각색 새가 되어 날아오르는 모습은 세상 그 어디에도 없는 장관일 것이다. 몇 가지 도구에 최소한의 손길만 준 뒤 딱 감이 오는 순간에 손을 떼는 그의 새 작업은 모든 것을 자연 그대로 돌려주고픈 그의 마음을 대변한다.
“지극한 사람은 자기 자신도 없습니다.”
조각가 이영학과 그의 새들이 물, 돌, 풀과 만나 강원도 정선 천혜의 자연 속으로 녹아들고 있다.
[중앙일보/ 정선=정재숙 문화전문기자 ]
<johanal joongang.co.kr="joongang.co.kr">
◆이영학=1948년 부산 출생. 서울대 조소과 졸업 뒤 이탈리아 로마 예술원과 시립 장식미술학교에서 공부 . 서울대 대학원에서 ‘마리노 마리니 작품 연구’로 석사학위. 인체 두상 조각에 집중하며 250여 점이 넘는 한국 사회 대표 인물 조각상을 만들었다. 1990년대 이후 생활 폐품을 이용한 새와 호랑이 조각으로 일가를 이뤘다.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의 절정기를 걷는다…시대별 서울 산책길 (0) | 2014.10.08 |
---|---|
제55회 한국민속예술축제 개막식과 폐막식 사진자료 (0) | 2014.10.08 |
"70년대 한국 단색화 보자" … 전세계 컬렉터 100명 몰렸다 (0) | 2014.10.05 |
최열 그림의 뜻 / 사족문예의 보금자리, 삼청동 옥호정 (0) | 2014.09.26 |
홍성담 그림, 풍자 예술이냐 정치 선동이냐? (0) | 201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