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은 초상사진 찍다 별 일을 다 겪는다.
노숙하거나 쪽방에 살면 누구던지 찍는 것이 아니라
찍을 대상의 기준을 정해두었으니, 마땅한 대상을 찾기가 쉽지 않다.

가난하게 살아도 당당하게 사는 사람이 흔치 않은데다,
술 마시지 않은 온전한 정신 상태에서 본인이 요청해 오기란 하늘의 별따기나 다름없다.
더구나 일체의 연출이나 보정 없이 있는 그대로를 노출하는 사진이라 잘 나서지 않았다.

대개의 사람들이 사진 찍히기를 싫어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모든 것을 지우고 싶은데 사진은 남겨 무엇 하냐?'는 것이다.
그리고 쪽방주민들은 대부분 영정사진을 만들어 놓은데다,
노숙인은 사진 둘 곳이 없어 찍어 줘도 무용지물이다.

그래서 접근방법을 달리하여 찍어달라고 할 때까지 기다리며, 스스로를 광고했다.
그동안 언론사 인터뷰 요청까지 거절해가며 동등한 위치임을 자랑삼았으나, 쪽팔려도 약력을 까 발렸다.
기존 영정사진과 달리 한 장의 초상사진으로 영원히 남기겠다는 각오로 임했다.
아무리 사람을 찍어 왔지만, 짐승보다 못한 인간은 찍지 않는다며, 어깨 힘도 주었다.

어차피 전시가 끝나면 사진은 본인에게 돌려줄 것 이지만,
이중으로 돈 들여 사진 찍는대로 인화해 준 것이 소문이 난 것 같았다.
요즘은 나의 뜻에 동조하는 사람이 하나 둘 늘고 있다.
아무리 모델로서 그럴싸해도 자격을 갖추지 않으면 찍지 않았다.

그리고 이 일은 지속적으로 해야 할 일이라 서둘 일은 아니었다.
량이 아니라 질이 중요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작품성보다 당사자의 정신력이 더 중요하다.

며칠 전에는 음악이 좋아 통기타 하나 챙겨들고 떠돌다
쪽방에 입주한 위수범씨를 우연히 만났는데, 사진을 찍어달라고 했다.
사진보다 자신의 삶에 자긍심을 갖는 일이 우선이라 길바닥에 퍼져 앉아 이야기부터 나누었다.

거지처럼 사는 것이 전혀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며,
돈 번 사람보다 돈을 벌지 못했기 때문에 더 잘 살았다는 위안에 그만 울고 말았다.
울음을 멈춘 후 사진을 찍었으나 슬픈 표정 즉 감정이 노출되어 실패했다.
사진은 나중에 다시 찍으면 되니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잘 살았다는 자긍심을 갖는 게 초상사진 찍는 목적이기 때문이다.
초상사진은 당당하게 스스로를 내 세울 수 있어야한다.

그 다음 날은 김상진씨를 만나 찍었으나, 그 역시 눈물이 고였다.
돈 때문에 가족을 잃었지만, 잘못 산 인생은 아니라는 것이다.
바늘로 찔러도 피 한 방울 나지 않을 것 같은 돈벌레 보다 얼마나 인간적이냐?

사진이야 다시 찍으면 되고, 그것도 아니라면 만족할 때까지 찍으면 된다.
돈 벌기 위해 하는 일이라면 할 수 없겠지만, 이렇게 사는 것이 좋다.
일이 아니라 나의 놀이며 내가 가야 할 길이다.
사진, 글 / 조문호

'조문호사진판 > 서울역전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기 힘들어도 죽지 못해 산다. (0) | 2023.09.13 |
---|---|
죽는 걸 겁내지 않는 빈자의 특권 (1) | 2023.08.28 |
현충일에 찍은 '버려진 사람들의 초상' (1) | 2023.06.09 |
세월의 흔적이 쌓인 본래의 얼굴이 최고의 초상이다. (0) | 2023.03.25 |
초상사진으로 사람의 정체성을 말하고 싶다. (2) | 2023.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