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은 지옥 같은 하루를 보냈다.
이태원 참사 소식으로 온 종일 일손을 놓고 가슴 태웠다.
젊은이들이 무슨 죄가 있어, 날벼락에 깔렸는지 모르겠다.
지긋지긋한 공부에 얽매어 살다, 모처럼 축제 한 번 즐기러 나갔다가 목숨 잃은 것이다.
대비는 물론 늦은 대처로 더 많은 인명을 잃게 한 정부의 무능에 할 말을 잃었다.
더 이상 슬픔에만 빠져 있을 수 없어, 다음 날 집을 나섰다.
인사동 북인사마당에 마련되었다는 합동 분향소를 찾아 간 것이다.
이른 시간이라 그런지 추모객은 많지 않았으나, 덕원스님 모습이 보였다.
비명에 숨져 간 청춘들에게 고개 숙여 명복을 빌었다.
인사동 거리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평소와 다름없었다.
가게에 걸린 상품은 안타까운 희생을 애도하는 조화처럼 보였고,
목 없는 한복 마네킹은 희생자의 넋인 냥 비통함을 더했다.
이재민씨의 ‘이것은 돌이다’ 전시 보러 ‘나무화랑'에 갔다.
손님과 이야기를 나누던 작가가 반갑게 맞아주었는데,
전시작은 여러 가지 형태의 돌이 그림과 병치되어 있었다.
불안감을 조성하는 허공에 뜬 돌은, 무의식의 세계를 현실 공간에 끌어들인 것 일까?
벨기에의 초현실주의 작가 마그리트가 연상되는 작품이었다.
실물인 돌을 그림과 연결시켜 이야기를 전개한 것이다.
꿈과 실제의 구분을 허문 작품들은 돌 덩이에 의한 중량감으로
화면에 팽팽한 긴장감을 불러 일으켰다.
작가의 철학적 사유를 감지할 수 있었다.
작품에 등장한 돌의 형태 또한 기묘했다.
때로는 섬이 되거나 산이 되어 서사적 의미를 더했다.
그날따라 이재민씨의 돌이 무겁게만 느껴졌던 것은
비명에 떠난 청춘들의 안타까운 죽음이 한 몫 했으리라.
이 전시는 오는 11월8일까지 열리니, 추모기간 동안 많은 관람을 바란다.
‘나무화랑’은 인사동 합동 분향소와 백 미터 지점에 있다.
다 같이 이태원 참사 희생자를 추모합시다.
사진, 글 / 조문호
'인사동 정보 > 인사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수길의 ‘편린’사진전과 조해인의 ‘신화가 된 청소부’ 출판기념회에서... (0) | 2022.11.10 |
---|---|
인사동에 관광객이 돌아왔다 (0) | 2022.11.09 |
벽치기 골목이 인사동 풍류객의 유일한 숨통이다. (2) | 2022.10.11 |
100년 넘게 숨겨진 송현동 땅, 드디어 개방되다. (0) | 2022.10.10 |
'함께 맞는 비' 맞으러 인사동 갑시다. (0)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