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인사동은 많은 예술가들을 품어 준 어머니의 자궁 같은 동네였다.
가난한 시절이었지만, 인사동이 있었기에 위안 받을 수 있었다.
골목골목 먹 냄새와 술 냄새가 함께 익었다.
구멍 뚫린 주머니지만, 대포 한 잔으로 천하를 얻은 듯 깔깔거렸다.
무엇보다도 인정이 살아 동네가 훈훈했다.
이제 그러한 풍류는 오간데 없고, 추억마저 희미해진다.
돈 맛에 사람도 동네도 다 맛이 가버렸다.
다들 고무신 거꾸로 신은 인사동이 보기싫어 잘 나오지도 않는다.
아는 분들의 전시와 모임에나 나와 벽치기 골목 주막에서 술판을 벌일 뿐이다.
죽기 전에 한 번이라도 더 보고 한 장이라도 더 찍고 싶어,
매주 셋째 수요일마다 만나자고 나발 불지만,
지인들 전시 없으면, 몇 사람 모이지도 않는다.
지난 5일은 조준영시인이 연락한 모임이 있어 인사동에 나갔다.
그런데, 안국역 6번 출구에서 벽치기 골목으로 들어가려니
관훈주차장 벽을 등지고 장사하는 노점상이 하나도 없었다.
노점상을 할 수 없다는 ‘덕성학원재단’의 공고만 드문드문 붙어있었다.
공사장처럼 판넬을 쳐 놓는 것보다, 사람들이 웅성이는 것이 더 인간적이지 않을까?
주차장 영업은 물론, 행인들의 통행에도 별 지장 주지 않는다.
마치, 여기는 내 땅이라고 유세하는 것 같았다.
이 뿐이 아니다. 인사동 낭만의 마지막 보루인 벽치기 골목도 마찬가지다.
뚱보는 들어 갈 수도 없는 개구멍 같은 골목인데,
주차장 부지를 50cm만 당겨주면 좋으련만, 손톱도 들어가지 않는다.
최소한 아픈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휠체어 정도는 통과해야 하지 않겠는가?
이 골목으로 진입하면 인사동 16길과 연결되는데,
푸른별 이야기, 유목민, ‘유담’커피숍, 유진식당, 갤러리 ‘보고사’, 사랑채,
‘PEARL HOTEL’ 등의 업소를 가는 지름길이기도 해 통행량도 제법 많다.
그 길을 통과 하려면 누가 들어오는지 망부터 보아야 한다.
오죽하면, 그 골목 이름을 벽치기 골목이라 불렀겠는가?
벽에서 떡치라는 이야기가 아니고, 지나가는 사람마다 벽을 쳐,
담이 무너졌으면 하는 마음이 담겨있다.
없는 사람 돈 좀 벌고, 조금이라도 편하게 다니는게, 그렇게 배가 아플까?
덕성의 교훈이 ‘사랑’으로 알고 있는데, 사랑은 무슨 시나락 까먹는 소리더냐?
사람 만드는 교육이 아니라, 돈 만드는 교육이더냐?
제발 돈만 생각하지 말고 사람 좀 생각하라.
사진, 글 / 조문호
'인사동 정보 > 인사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화를 부르는 술자리 호출 (0) | 2018.06.12 |
---|---|
분단의 상처를 드러낸 김구의 “아프다!?“전 (0) | 2018.06.12 |
‘유목민’에 모인 '인사동 사람들' (0) | 2018.06.08 |
터줏대감들 납시니 인사동이 즐겁다. (0) | 2018.06.01 |
강요배의 “상(象)을 찾아서” 성황리에 열려... (0) | 2018.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