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구와바라 시세이 사진전 개막식에 가려고 아내와 함께 지하철을 탔다.
평소와는 달리 한산한 지하철이었는데, 취기 있는 나그네의 대금 소리가 처량했다.
구성지게 부는 ‘동백아가씨’가 매끄럽지는 않았으나 덜커덩 그리는 지하철 소리보다는 나았다.
박수까지 쳐 주며 분위기를 돋구는데, 광화문역에서 팔을 깁스한 강 민선생께서 타셨다.
반갑기도 놀랍기도 해 자초지종을 여쭈었더니 두 달 전, 발을 헛디뎌 오른 팔목이 골절되었다는 것이다.
선생님을 뵌 지가 엇 그제 같은데 벌써 두 달이 되었다는 것도 놀랍거니와 그동안 아무것도 모르고 있다는게 부끄러웠다.
뭐 대단한 일한다고 인사동 소식도 접하지 못한 채, 그리 바삐 다녔는지 모르겠다.
이 무더운 날씨에 깁스하고 지내려면 얼마나 힘들까?
이 날도 인사동에 나왔다가 들어 가시는 길이라지만,
내일은 양산 계시는 방동규선생이 오셔서 또 나오신다는 것이다.
강 민선생은 몇 안 되는 인사동 터줏대감이시다.
변해가는 인사동에 가슴조리며 하루를 마다하고 인사동에 나와야 직성이 풀리는 분이다.
얼마나 인사동을 사랑했는지는 선생의 시 ‘인사동 아리랑’연작에서 알 수 있다.
또 한 분은 민속학자 심우성선생이다.
제주도에서 올라와 인사동 여관에 장기투숙하신지가 어느 듯 일 년이 가까워 온다.
싸게 파는 식권으로 끼니 해결하며 후배가 운영하는 술집 모퉁이를 사무실 삼아
인사동의 마지막 낭만을 즐기시는 분이다.
강 민선생이나 심우성선생 같이 인사동을 사랑하는 분이 과연 몇이나 될까?
다음 주 초에 서울로 돌아오면 만사 제켜 놓고, 두 선생님 모시고 식사 한 끼하고 싶다.
사진,글 / 조문호
'인사동 정보 > 인사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사동, 이대로는 안 된다. (0) | 2015.08.12 |
---|---|
[스크랩] 인사동 맨홀 뚜껑에 ‘전통 매듭 문양’ 입힌다 (0) | 2015.08.10 |
서울이 텅 비었다. (0) | 2015.08.06 |
'2015 한국현대형상회화전'에서 민중의 분노를 듣다. (0) | 2015.07.30 |
노동자 시인 김신용씨의 첫 시집 ‘버려진 사람들’이 복간되었다. (0) | 2015.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