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걷이 하러 '백암길사람사진관' 가다.
지난 목요일에는 가을걷이하러 내려갔다.
며칠 만에 아산 왔는데, 방명록에 수원의 김지식씨와 천명철씨가 다녀가셨다.
전시장을 비워 차도 한 잔 대접하지 못했으나, 방문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추수래야 배추와 무, 당근, 들깨 등 몇 가지 되지 않고 양도 얼마 되지 않지만,
서리맞아 언덕에 웅크린 대마는 행복을 전해 줄 신의 선물이 아니던가?
손이 많이 가기로는 무 잎 삶아 말리는 일이었다.
일단 땔감도 할 겸, 들깨와 시든 꽃대부터 수거했다.
들깻잎은 올여름 내 입을 즐겁게 해주었고, 꽃은 눈을 즐겁게 해주지 않았던가?
사람이나 식물이나 수명을 다하면 사라지는 것이 자연의 이치라, 야속하지만 다 뽑았다.
코스모스는 말라 죽어 괜찮았으나, 시들어 고개 숙인 국화를 뽑으려니 마음이 영 켕겼다.
하는 김에 설치물 주변을 어지럽게 만드는 꽃대를 정리할 수밖에 없었다.
필요할 때만 써먹고 활용 가치가 없으면 가차 없이 버리는, 인간 자체가 악인 걸 어쩌겠는가?
그래도 서리 내릴 때 피는 국화만 남아 있었다.
꽃을 태우면서도 쓰레기로 버리지 않고 화장해준다며, 생색까지 낸다.
가마솥에 물 끓이느라 숱한 꽃을 태웠으나 그래도 남았다.
한 번은 더 사용할 수 있는 양인데, 꽃대 무덤처럼 가마솥을 지키게 했다.
삶아 낸 무청을 빨랫줄에 늘었는데, 빨랫줄과는 인연이 많다.
동자동 사진 나누어 줄 때도 빨랫줄에 걸었으니까...
들깨를 정리하고 나니 서서히 어둠이 몰려왔다.
무청을 삶아 거무튀튀한 물로 세수하기는 꺼림직했으나,
날씨가 쌀쌀해 따뜻한 물이 좋았다.
저녁 식사를 한 후 수확한 대마를 옷걸이에 걸어두고 마르기만 기다리는데,
김창복씨와 이현이 그리고 평이가 찾아왔다.
내일 농장에서 김장한다며 수확한 배추 가지러 온 것이다.
갖고 온 떡을 먹으며 모처럼 오붓한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그 틈을 이용해 이현이는 ‘인사동 사람들’ 블로그 전체를 다운받기 위해 안달이다.
블로그에서 쫓겨난 지 일 년이 가까워서야 살려냈는데, 그렇게 고마울 수가 없었다.
그 고마움을 뭣으로 답해야 할지 고민이다.
하기야, 고맙기로는 어디 그뿐이랴!
인덕이 많다는 소리는 예전부터 들었는데, 그 많은 분에게 갚지도 않고 죽을 날만
기다리다니... 죽어도 편하게 죽기는 글렀다.
사진,글 / 조문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