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추워 노숙인이 힘들어졌다.
여름철에는 쪽방 사는 빈민들이 힘들지만 날씨가 추워지면 노숙인이 버텨내기 힘들다.
‘노숙인종합지원센터’ 보호시설을 비롯하여 서울역 인근에 응급 잠자리 65개를 준비하는 등
서울시의 대처로 예년에 비해 추위에 노출된 노숙인이 많이 줄었다.
그러나 술을 좋아해 시설 입소를 거부하는 노숙인은 어쩔 수 없다.
며칠 전에는 눈발이 간간이 날리는 추운 날씨였다.
서울역 주변을 돌아보았으나 노숙인이 그리 많지 않았다.
집중적으로 모여 있던 지하도는 단속이 심해 그런지 비둘기 한 마리만 두리번거리고 있었다.
양지바른 ‘다시서기’ 건물 벽에 서너 명이 자리 잡고 있었는데,
외국인 한 사람이 침낭을 몇 개 가져와 나누어 주었다.
다시 동자동으로 건너와 ‘새꿈공원’에 갔다.
날씨가 추워 그런지 공원에도 사람이 아무도 없었는데,
공원입구에 처음 보는 노숙인이 찬 바닥에 웅크려 있었다.
좀 있으니, 지나가던 선교사가 이대로 자면 얼어 죽는다며 깨웠다.
춘천에서 왔다는데, 넘어졌는지 얼굴에 피멍이 들어있었고 술도 좀 마신 것 같았다.
덮고 있는 외투를 들치니 내복을 입지 않아 양팔이 그대로 노출된 체, 찬 바닥에 누워있었다.
선교사가 가까운 여인숙에 방 하나 얻어 주겠다며 끌었지만 한사코 사양했다.
먹을 수도 마실 수도 없는 방에 왜 갇히고 싶겠는가?
눈치 챘는지 나중에 다시 오겠다며 선교사는 가버렸다.
알콜 중독자의 구걸 속성을 아는 사람은 도와주지 않지만, 잘 모르는 사람은 가끔 베푸는 경우가 있다.
주면 안 된다지만, 당장 돈이 절실한데 어쩌겠는가?
그렇다고 지나가는 사람 붙들고 구걸할 수 없으니 그 짓을 하는 것이다.
차마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았다.
그래! 이리 죽으나 저리 죽으나 피차 마음 편한 것이 나을 것 같았다.
몇 푼 되지 않지만, 꼬깃 꼬깃 접어 손에 끼어주니 움켜잡았다.
부디 부디 찬 바닥에서 일으나 무탈하길 바란다.
사진, 글 / 조문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