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여사의 취미생활
정여사의 취미생활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일 년에 한 차례씩
방에 있는 물건들을 바꾸어 옮겨가며 주거공간을 바꾸는 일이다.
집이란 게 콧구멍만한 12평짜리 연립이라 옮겨 보았자 그게 그거지만, 기어이 일을 치러야 직성이 풀린다.
이것저것 재고 짜 맞추느라 시간이 오래 걸려 주로 내가 없을 때 해 치우는데,
뒤늦게 정리해 놓은 것을 보고 깜짝 놀랄 때가 한 두 번이 아니다.
그 크고 무거운 짐들을 여자의 힘으로 어떻게 옮겼는지 몰라서다.
책장 옮기는 것은 다반사고 심지어 가구까지 위치가 바뀌어 있을 때가 많았다.
그 연립주택은 24년 전 오천만원 주고 산 집인데, 열두 평이지만 아래층 차고 위의
서너평 되는 다락방이 평수에 없는 공간이라 혼자 살기에는 전혀 불편함이 없는 집이다.
그러나 내가 들락거리며 서로 걸리적거릴 때가 많고 일하기도 불편해
빨리 동자동 쪽방으로 가라는 말을 밥 먹듯이 해댄다.
조금만 더 넓은 곳으로 이사 가고 싶다는 불만도 털어놓지만,
여사님께 딱 맞는 집이라며, 욕심 부리지 말라고 입을 틀어 막아왔다.
얼마 전 옆집이 팔천만원에 팔렸다며, 삼천만원 오른 것을 좋아했다.
삼천만원이 적은 돈은 아니지만, 24년 만에 집값이 삼천만원 올랐다면 개가 들어도 웃을 일이다.
아파트 한 채가 몇 십억씩 하는 미친놈의 서울 땅에 팔천 만원짜리 집이 어디 있겠는가?
그 돈으로 전세방도 제대로 얻지 못한다.
더구나 지하철 역촌역이 집에서 1-2백 미터 거리에 있고, 은평공원이 지척에 있지 않은가?
최고의 교통조건과 쾌적한 환경이라 복중의 복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시각적 변화를 찾고자 일 년에 한 번씩은 꼭 짐을 옮기는 대소동을 벌인다.
얼마 전에는 내가 있을 때 일을 벌여 도와주지 않을 수 없었다.
아무리 생각해도 옮길 자리도 없거니와 어떻게 바꿀지 감이 오지 않았다.
이번에는 침대 아래쪽 코너에 있던 책장과 오디오를 꺼내기 시작했다.
어디다 갖다 놓을 거냐고 물었더니, 다 생각이 있다는 거다.
책상 옆에 있는 책장을 비우기 시작해 그 책은 어쩔거냐고 물었더니, 잔소리 말고 큰 짐만 옮겨달란다.
결국 다락방 책장에서 버릴 책을 골라내기 시작했다. 바꿀 때마다 죽어나는 건 죄 없는 책 뿐이다.
한 때는 버리기가 아까워 ‘동자동 사랑방’에 갖다 주기도 하고 더러는 고물상에 갖다 팔았다.
그런데, 다락방 모퉁이에 쌓아 둔 액자들이 문제였다.
‘장에 가자’전시를 끝낸 후 정선으로 옮겨야 했지만, 깜빡 잊어버린 것이다.
만약 정선에 가져갔다면 이마저 화재의 불쏘시개가 되지 않았겠나?
옆집 주려고 만들어 둔 만지산 사진 액자도 집이 불타 없는데, 어디다 걸어 준단 말인가?
하여튼 정여사의 지시대로 많은 책이 버려졌고, 오디오는 책상 옆 수납장으로 옮겨졌다.
이제 마무리 할 일만 남았다.
몇 년 동안 거들떠보지도 않던 곳을 비웠으니, 장판도 이어 깔아야 하고 도배도 해야 했다.
도배야 예전부터 잘하는 일이라 식은 죽 먹기나 다름없다. 오죽하면 조풀칠이란 아호까지 얻었겠는가.
도배지래야 장터사진전 포스터 몇 장이면 충분하고 장판은 다이소에서 산 조각 장판으로 간단히 끝냈다.
그 좁은공간을 어떻게 사용할지 궁금했는데, 그 곳에 의자를 갖다놓고 책 읽는 공간으로 만든 것이다.
죽은 공간을 살려 낸 기 막힌 변화인데, 오디오도 눈에 띄는 공간에 옮겨 놓으니 음악듣기도 한결 쉬워졌다.
긴 세월동안 반복되어 온 정영신의 돌려치기 공사로는 최고의 공간 활용이며 최고의 취미생활이었다.
사진, 글 / 조문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