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워 죽지 않고 살아남은 것이 용타!
이제 더위가 꼬리 내려 가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아침 저녁으로 선선한 바람까지 불어 밖에 나가 살랑거리기 좋지만, 쪽방은 아직 덮다.
그래서 동자동 입구나 공원에서 자는 사람이 많은 것이다.
여름 철 동자동 주변에서 노숙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쪽방주민들이다.
사방이 뚫려 시원한 곳 놔두고 성냥갑 같은 방에 갇혀 땀 찔찔 흘릴 필요 있겠는가?
공원에 나갔더니 최씨가 개를 안고 나왔더라.
‘피치’는 최씨의 외로움을 달래주는 유일한 친구고 새끼다.
그 좁은 방에 털숭이 끼고 자느라 땀띠 깨나 생겼을 거다.
내가 동자동에 주민 신고식 한지가 오늘로 딱 삼년 되었다.
기념할 소식이라도 있나 싶어 똥개 똥 찾듯 동내를 살피고 다녔다.
사람 죽어 나간 자리 다른 사람이 채웠을 뿐, 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내가 바뀌지 않듯, 다른 사람도 바뀌지 않았다.
완장 좋아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완장 좋아하고,
칼자루 쥔 ‘서울역쪽방상담소’ 나리들 막힌 것도 여전하더라.
술에 중독된 사람들은 사는 것도 개판이었다.
그동안 새 삶을 찾아 간 사람은 한 사람도 없고,
구급차에 실려 죽어가는 사람만 숱하게 보았다.
동자동은 강민시인의 시처럼 ‘이승의 간이역’이고, ‘신판 고려장’이다.
잘 못된 것을 아무리 바꾸자고 방방 그려도 쇠귀에 경 일기다.
좆통수 불어도 동자동은 돌아가고 세상도 돌아간다는 것인지...
사실, 다람쥐 쳇바퀴 돌듯 살다 죽는 거지 별 것 있겠나?
아직 꿈을 못 깨 돈 돈하는 사람이 있는데, 죽고 나면 말짱 도루묵이다.
버티고 사는 날 까지는 재미있게 살자. 잘못된 것은 싸워서라도 편하게 만들자.
행복은 권력자가 만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만드는 것이다.
몇일 후 ‘동자동 사랑방’의 추석 잔치에서 신명나게 한 판 놀자.
“노세 노세 늙어 놀아, 죽고 나면 못노나니,
화무는 십일홍이요 달도차면 기우나니라”
사진, 글 / 조문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