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를 막론하고 미술사 중심에는 항상 그림이 있었다. 사실 조각과 회화는 시각이미지를 생산하는 활동이면서도 그 여정에는 일정한 거리가 상존하였다. 그 이유는 그들 작품이 존재하는 차원이 다른 관계로 허상과 실체라는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그래서인가 창조주 하느님은 인간에게 우상, 즉 조각품을 만들지 말 것을 모세에게 명령하였다. 이런 조각의 특성 때문인지 정교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절대 권력이 국가를 지배하던 시절에 조각이 흥하였다. 그러나 우리의 조각전통은 서양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미약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가 흥하던 시기에 우리 조상들은 금동반가사유상과 석굴암 본존불과 같은 미려한 불상조각을 남겼다. 그러나 조선이 성리학에서 비롯된 졸박(拙樸)의 미를 추구하면서 과거 불교에 기반한 조각적 전통은 쇠퇴하였다.

한국 최초의 서양조각가 정관 김복진이 1920년 동경미술학교로 유학을 떠나 1925년 귀국하였으니 이 땅에 서양조각이 도입된지 채 100년이 안 되었다. 살펴보건대 지난 세기 한국미술계 최대과제는 서양미술과 보조를 맞추는 것이었다. 모두 서둘러야 했다. 더불어 한국적인 것을 모색해야 했다. 그 이유는 서양미술이 일제강점기에 도입되었기 때문이다. 몇몇 평론가들은 한국현대미술의 기점을 1958년 앵포르멜의 등장으로 잡고 있다. 거의 같은 시기 청년조각가들에 의해 철조가 도입되었다. 그들은 자신들이 시도한 철조를 앵포르멜과 같이 선진적인 작업으로 인식한 것 같다.

                                                   김복진, 소년, 1940

아마도 1964년 5월 16일 태평로에 애국선열석고상이 세워지면서부터 일반대중에게 조각이라는 것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한 것같다. 이후 정부는 석고상을 철거하고 동상들로 교체하였다. 정부주도의 동상 건립사업의 절정은 1987년 광복절에 개관한 독립기념관이 아닌가 싶다. 그리고 88서울올림픽을 염두에 두고 1983년 5월 서울시 조례가 발효되었다. 1%법으로 알려진 미술품 장식의무화였다. 이로 인해 환경조각과 공공조각이라는 용어가 도입되었다. 한편 1981년 해외유학이 자유화되며 당시 유학을 떠난 작가들이 귀국하기 시작한 1980년대 말부터 한국 조각계에 설치미술이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첨단이론과 함께 밀려왔다. 그리고 1995년 제1회 광주비엔날레가 열렸다. 이후 부산과 서울에서도 각각 국제비엔날레가 개최되었다. ‘한국은 비엔날레 왕국’이 되었다. 이런 과정에서 장르의 구별은 모호해졌다. 첨단 비디오와 설치작업 틈새에서 조각이 설 곳이 없어 보였다. 세계화시대에 회화와 조각은 진부한 것이 되었다.

이와 같은 한국미술의 급격한 세계화과정은 1997년 말 발표된「국내 젊은 작가들의수용의 문제」라는 논문내용과 같이 ‘표절시비’라는 문제를 낳았다. 표절시비는 인터넷속도가 빨라지는 것에 비례하여 그 빈도가 높아졌다. 최근엔 전시기획자들에서도 이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한국사회 전분야가 ‘표절’과 ‘위조’라는 열병을 앓고 있다. 그래서인지 어느 외국인 전시기획자는 한국미술계가 “한 해 비엔날레 3건을 개최할 역량이 있는가?”라고 묻기도 하였다. 왜 외국인이 우리에게 이런 질문을 해야 하는 것인가?


한국미술 상황에 대한 성찰의 자세 필요

우리 사회에 얼마 전부터 힐링(Healing) 열풍이 불고 있다. 그리고 얼마 전에는『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혜인, 쌤앤파커스, 2012)이라는 책이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다. 이런 사회적 현상이 한국미술계에는 낯선 것일까? 우리 사회에서 이제야 비로소 지난 여정을 되돌아보자는 자각이 일고 있는 것 같다. 앞으로 가기위해서는 지나온 길이 어떠했는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성찰’말이다. 우리는 아직 지식수입국이기 때문에 계몽적인 글쓰기도 중요하다. 그러나 본인은 계몽적 글쓰기와 더불어 지금까지 수입한 모든 지식을 바탕으로 ‘지금 우리의 상황’을 분석하여 정리설명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면밀한 관찰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런 관찰을 통해 이르게 되는 것이 ‘이론’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 땅에 미술이론관련자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지금 우리 미술에 대한 부단한 성찰이다. 일일삼성(一日三省)과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자세는 지금도 우리에게 유효한 것이라 생각한다.


- 박춘호(1963- ) 서울대, 프랫 인스티튜트 조소 전공. 개인전 11회. 2005년 고려대 영상문화학 협동과정 박사과정 문학박사(2012). 학위논문은「한국근대미술사 담론의 인식론적 계보학-시각체제의 변동과 장개념을 중심으로」

+ Recent posts